삼성·LG ‘기술 선점’ 포부… 현대車 ‘수직계열화’ 포석

삼성·LG ‘기술 선점’ 포부… 현대車 ‘수직계열화’ 포석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11-20 23:24
업데이트 2016-11-21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M&A 통해 나타난 한국 30대 그룹 경영전략

지난 7년간 30곳서 280곳 인수
인수합병 거래금액 58조 달해

삼성과 롯데가 국내 30대 그룹 중 가장 적극적으로 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 이후 지난 7년 동안 30대 그룹이 단행한 M&A 총 280건 중 해외 기업을 인수한 사례는 25건에 불과, 기업들이 시야를 넓힐 필요성이 제기됐다.

기업경영성과 평가 사이트 CEO스코어는 2010년부터 올 11월 현재까지 30대 그룹의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57조 9135억원 규모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M&A를 통해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하고, 사업보고서상 인수 금액이 확인된 사례와 함께 최근 삼성전자의 하만 인수처럼 금액이 확정된 예정 기업도 집계에 포함됐다.

●하만 품은 삼성 ‘11조 3000억대’ 사용

조사 시기인 지난 7년 동안은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이 특허와 기술을 공유하고 기술기업을 M&A하는 개방혁신(오픈 이노베이션) 기류가 확산되던 시기와 겹친다. 이런 기류에 잘 부응한 기업으론 삼성이 꼽혔다. 7년 동안 21건(11조 3816억 9100만원)의 삼성 M&A 중 7건(10조 3913억 7100만원)이 해외 M&A였다. 삼성의 해외 M&A 금액은 이달 들어 자동차 전자부품 업체인 하만을 9조 3000억원에 인수하느라 급증했지만 삼성은 하만 이외에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등 해외 기술기업 인수에 지속적으로 공을 들여 왔다.

해외 4곳을 포함해 25곳(2조 2788억 6900만원)을 인수한 LG 역시 실리콘웍스(시스템설계), 원신스카이텍(무인헬기시스템) 등 기술 기업을 인수하는 행보를 이어 왔다.

현대차 그룹은 5건(5조 5589억 3000만원)을 인수했는데 주로 현대종합특수강, 만도신소재 등 수직 계열화를 노린 포석이 많았다. 단, 4조 9601억원 규모였던 현대건설 인수 배경으로 현대차 그룹의 과거 현대가(家) 복원 의지가 꼽히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7년 동안 해외 M&A에는 나서지 않았다.

●롯데·한화·CJ 등 주력사업 우위 전략

포스코, 롯데, 한화, CJ 등은 주력 사업의 우위를 강화하려는 M&A에 관심이 컸다.

대우인터내셔널 편입이란 빅딜을 포함해 10건(4조 8999억 2400만원)의 M&A를 성사시킨 포스코는 에너지, 소재 분야로 외연을 넓혔다. 28곳(9조 7583억 500만원)을 인수한 롯데는 삼성의 화학 부문을 편입시키거나 하이마트나 KT렌탈처럼 유통망을 강화시키는 측면에 관심을 보였다.

46건(4조 1023억 7300만원)에 달하는 CJ의 M&A 대상은 엔터테인먼트 및 식품 기업 쪽에 집중됐고, 한화가 인수한 11곳(3조 5732억 6700만원) 중에는 방산이나 태양광 기업들이 많았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11-21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