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운행 정상화 잠정 합의…72일째 철도파업 해결 조짐

열차운행 정상화 잠정 합의…72일째 철도파업 해결 조짐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16-12-07 22:36
업데이트 2016-12-07 2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조 확대대책委 오늘 결정…쟁점 성과연봉제 빠져 변수

성과연봉제 도입에 반대하며 7일로 72일째 진행된 철도파업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됐다.

코레일과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은 이날 철도 안전 확보와 열차운행 정상화, 임금협약에 노사가 잠정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노조는 8일 전국 지부장 등이 참석하는 확대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합의안에 대한 인준 여부를 최종 결정한 뒤 조합원 현장 설명회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져 금주 중 파업사태 해결이 기대되고 있다.

●등용직 운영·통합직 신설 중단

합의안에는 노사가 정상적 노사관계 및 현장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고, 노조는 열차 운행을 즉시 정상화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쟁의기간 개정된 열차분야 등용직 운영 및 통합직 신설 등의 시행도 중단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기 파업에 따른 조합원의 경제적 부담이 큰 데다 국회의 중재를 무시할 수 없는 노조 집행부가 결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 “이르면 9일 최종 합의”

철도노조는 “성과연봉제와 관련한 보충교섭이 결렬돼 노동쟁의가 해소된 것이 아닌 쟁의전술 전환”이라며 “성과연봉제 시행 중단 가처분 소송의 결과와 노사합의 준수 여부에 따라 언제든 쟁의권이 발동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핵심 쟁점인 성과연봉제가 빠진 데다 합의내용도 지난달 9일 노사가 집중교섭에서 이끌어낸 내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아 노조 내부의 반발이 막판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코레일의 한 간부는 “노조가 합의안에 대한 인준절차에 착수한 만큼 이르면 9일쯤 최종 합의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며 “노조가 파업을 철회하고 복귀하더라도 열차 정상화에는 일주일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12-08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