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파동에 닭고기 매출 찬바람…12월 들어 급감

AI 파동에 닭고기 매출 찬바람…12월 들어 급감

입력 2016-12-15 08:27
업데이트 2016-12-15 08: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에 따른 피해가 사상 최대 규모를 경신하면서 닭고기 매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AI 발생 초기만 해도 닭고기 매출은 별다른 영향 없이 신장세를 유지했으나 감염 범위가 확산하고 살처분 규모가 급증하면서 닭고기를 찾는 소비자의 수가 급감했다.

신세계 이마트의 경우 충남 천안에서 올겨울 들어 처음으로 AI가 발생한 지난달 11일부터 30일까지 닭고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 증가했고, 오리고기 매출만 10.7% 감소했다. 닭고기를 구매한 고객 수도 51만 명으로 작년과 거의 같았다.

AI 발생 초기에는 오리 농장을 중심으로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2003년 이후 AI 발생이 연례행사처럼 되면서 닭고기 소비에 대한 거부감도 엷어져 매출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았던 것.

그러나 12월 들어 AI가 전국으로 퍼지고 산란계와 육계의 피해가 본격화하면서 닭고기 소비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고 이마트는 밝혔다.

지난 1일부터 13일까지 이마트의 닭고기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2.1% 감소했고, 오리고기 매출 역시 14.0% 감소했다.

이 기간 닭고기를 구매한 고객 수는 작년 같은 기간 38만 명에서 33만 명으로 5만 명이나 줄었다.

닭고기 소비가 부진하자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육계협회 산지 시세 자료에 따르면 생닭(대)의 경우 11월에는 1천890원으로 전월과 비교해 큰 변동이 없었으나 12월 들어 1천490원까지 20%가량 떨어졌다.

이마트 판매 가격도 백숙용 생닭 1kg이 지난달 11일 5천980원에 팔리던 것이 지난 14일 현재 10%가량 가격이 내린 5천580원에 판매 중이다.

임승현 이마트 계육 담당 바이어는 “닭 소비 심리가 계속 위축될 경우 연말까지는 닭고기 가격이 약세를 유지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