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신 기회도 없이 공중분해?…전경련, 위기감 고조

쇄신 기회도 없이 공중분해?…전경련, 위기감 고조

입력 2016-12-29 10:52
업데이트 2016-12-29 1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요 회원사의 잇단 탈퇴와 허창수 전경련 회장의 내년 2월 사임 선언으로 사실상 와해 수순으로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전경련은 앞으로 2개월 안에 쇄신안을 마련하고 후임 회장도 구하겠다는 계획이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아 보인다.

허창수 회장은 28일 600여개 회원사에 발송한 서신을 통해 처음으로 공식 사과하고 임기가 끝나는 내년 2월에 물러날 것임을 공식화했다.

그러면서 “빠른 시일 안에 회원과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여러가지 개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혀 해체론에 선을 긋고 쇄신안을 마련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또 “2월 정기총회까지 전경련을 이끌어주실 새로운 회장님을 모시도록 하겠다”며 후임 회장을 적극적으로 찾아볼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전경련은 앞으로 두 달 동안 ‘쇄신안 마련’과 ‘후임 회장 구하기’에 주력할 방침이다.

하지만 쇄신안의 경우 그동안 재계에서 유력한 안으로 거론돼 온 ‘미국의 헤리티지 재단’ 모델이 전경련이 벤치마킹하기에 부적합한 안이라는 의견이 많아 논의에 별 진전이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가장 큰 이유는 미국의 헤리티지 재단은 기부금을 바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우리 현실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또, 경제단체 지위를 포기하는 쪽의 쇄신안을 추진할 것인지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전경련은 회원사 뿐 아니라 국민의 눈높이까지 충족시키는 쇄신안을 찾아야 해 고민이 많은 상황이다.

내용적 측면을 떠나 회원사들의 동의를 구하는 과정은 더 큰 난관이다.

이달 중순 30대 그룹 회원사들을 상대로 전경련이 간담회를 마련했으나 4대 그룹 중 LG그룹만 참석하고 대다수가 불참해 제대로 된 의견 수렴을 하지 못했다.

전경련은 두 달에 한 번씩 열리는 정기 회장단 회의를 다음 달 정상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참석 저조로 다시 무산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회원사들은 ‘정경 유착의 창구’로 지목된 전경련 회의 참석 자체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경련 관계자는 “기업들이 공식 모임에 참석이 어려우면 개별적으로 회원사들을 접촉해서라도 의견을 수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개월 안에 허 회장의 후임자를 찾는 일도 험난해 보인다.

10대 그룹 총수들은 각종 이유를 들어 전경련 회장직을 하나같이 고사하고 있으며, 재계 ‘맏형’으로서 위상 저하를 감수하고 30대 그룹으로 시야를 넓히더라도 후임자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외부에서 명망 있는 경제 전문가나 관료 출신을 회장직에 모셔와서 전권을 주고 전경련의 쇄신 작업을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전경련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대기업 관계자는 “전경련이 해체에 준하는 전면적이고 대대적인 쇄신안을 내놓지 못한다면 회원사들의 줄이탈이 무서운 속도로 빨라질 것”이라며 “시간이 많지 않고 전경련 해체 여론도 높아 이대로 가다간 전경련이 해체돼 버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