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집 건너 한 집 빚 갚기 힘들다

네 집 건너 한 집 빚 갚기 힘들다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7-03-14 21:12
업데이트 2017-03-14 22: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환불능 한계가구 200만 육박…전체 부채보유 가구중 20% 차지

네 집 건너 한 집꼴로 빚을 갚기 힘든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가 오르면 이들 가구는 빚 부담이 더욱 커지고 돈을 빌려준 은행도 부실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14일 금융권과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부채를 보유한 전체 1086만 3554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매달 소득에서 최저생계비를 빼면 원리금 상환조차 어려운 한계가구가 200만 가구로 추산됐다. 전체 부채 보유 가구의 19.9%다. 통계청이 추산한 한계가구 비중 12.5%보다 7.4% 포인트나 높다.

한계가구가 보유한 은행권(대구은행 제외) 위험 가계대출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69조원으로 전체 은행권 가계대출(개인사업자 대출 포함) 648조원의 26.1%로 추산됐다. 시중은행의 위험 가계대출 규모는 144조원으로 전체(557조원)의 25.9%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2013년 말 16.2%에서 9.7%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외국계 은행과 지방은행에서 위험 부채가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25.6%, 30.2%에 달했다.

특히 주택담보인정비율(LTV) 60% 초과~70% 이하인 대출이 101조원으로 전체(348조원)의 32.1%를 차지했다. 2013년 말 이 구간의 비중은 15.4%였다. 3년이 안 돼 2배 수준으로 급증한 것이다. 이 기간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의 74%(63조원)가 LTV 60% 초과∼70% 이하 구간에 해당한다.

230조원 규모의 개인사업자 대출도 전체 은행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5%나 된다. 여윤기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한계가구로 편입되는 가구가 갈수록 늘고 있어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가 현실화하면 상환 압박이 더 심해질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한계가구가 많은 제2금융권부터 위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조만간 한계가구 부담 완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7-03-15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