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칼 빼들었는데…BBQ 치킨가격 인상 강행할까

정부 칼 빼들었는데…BBQ 치킨가격 인상 강행할까

입력 2017-03-15 09:58
업데이트 2017-03-15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업계 “민간기업이 가격 올렸다고 겁주는 것은 문제”

정부가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의 가격 인상 움직임에 강력 대응 방침을 선언하자 이미 가격인상을 밝힌 업계 1위 BBQ치킨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치킨 가격이 비싸다는 여론이 거센 데다 정부가 세무조사까지 거론하며 공개적으로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BBQ는 이날 오전 이준원 차관 주재로 열리는 ‘외식업계 CEO’ 간담회에 불참한다.

이 간담회는 정부가 최근 경기 불안과 중국발 사드보복 가시화로 어려움을 겪는 외식업계의 애로사항을 듣고 당부 사항을 전달하기 위한 자리다.

당초 참석 의사를 밝혀왔던 BBQ 측은 하루 전인 14일 입장을 바꿔 불참 의사를 농식품부에 전달했다.

최근에 치킨 가격 인상 조짐이 보이자 정부가 강력 대응 방침을 밝힌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농식품부는 BBQ가 20일부터 가격을 인상한다는 첫 언론보도가 나온지 이틀만인 지난 12일 공휴일임에도 이례적으로 ‘닭고기 가격 긴급 안정대책 강력 추진’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냈다.

이 자료에서 농식품부는 “AI로 인한 닭고기의 수급 불안을 핑계로 소비자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유통질서 문란행위에 대해서는 국세청에 세무조사, 공정위에 불공정 거래행위 조사를 각각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날인 13일에는 치킨의 가격 형성 과정을 공개하며 닭고기 원가가 치킨값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 내외이고, 프랜차이즈의 경우 닭고기를 시세 반영 방식이 아닌 사전 계약 가격으로 공급받고 있으므로 AI로 인한 가격 인상 요인이 없다고 못을 박았다.

이는 이미 가격 인상을 결정한 상태인 BBQ를 겨냥한 ‘공개 경고’라는 해석이 나온다.

BBQ는 이번 가격 인상이 8년 만에 이뤄지는 것인 데다 임대료, 인건비, 배달 대행료 등이 추가 발생해 가맹점들의 수익이 떨어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정부가 강력대응을 천명하고, 여론도 부정적으로 흐르자 BBQ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격 인상 계획을 전면 보류하거나 철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

BBQ 측은 “아직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하지만 당초 예정됐던 가격 인상 시점이 20일인 만큼, 조만간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치킨 업계 내부적으로는 정부의 대응 방식에 불만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치킨 가격이 서민 체감물가와 직결된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 민간 기업이 가격을 올렸다고 정부가 겁을 주는 것은 지나친 시장 개입”이라며 “치킨업계의 경우 과다 경쟁으로 인상 요인이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음에도 이번 일을 계기로 당분간 어떤 업체도 가격을 올리지 못할 것”이라고 불만을 드러냈다.

치킨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는 한 점주도 “정부가 AI로 닭고기 수급에 실패해놓고 그 책임을 치킨 업계로 떠미는 것이 아니냐”며 “애꿎은 가맹점주들에게만 불똥이 튀게 됐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