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삶의 질’ 지수와 차별화…한국 특수성 담아

국제 ‘삶의 질’ 지수와 차별화…한국 특수성 담아

입력 2017-03-15 14:07
업데이트 2017-03-15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민간학회 발표 ‘삶의 질 종합지수’

통계청과 민간학회가 15일 내놓은 삶의 질 종합지수는 기존 국제기구 ‘웰빙’ 지수와는 달리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한국 국민 삶의 질 수준을 체계적으로 관찰해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작성 목적이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더 나은 삶의 지수(BLI)’, 유엔개발계획(UNDP)의 ‘인간개발지수(HDI)’, 유엔의 ‘세계행복보고서(WHR)’는 국가 간 비교를 목적으로 작성된 지수다.

UNDP의 HDI는 기대수명, 기대교육연수, 평균교육연수, 1인당 국민소득(GNI) 등 간단한 4가지 객관 지표로 작성됐다. 유엔의 WHR는 주관 지표만 다룬다.

OECD의 BLI는 주거·소득과 자산·직업과 수입·삶의 만족 등 11개 영역 24개 지표로 구성돼 객관과 주관 지표를 모두 반영한다.

이러한 국제기구 지수는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공통 지표만을 사용해 작성하느라 결과도 제각각일뿐더러, 한국의 실제 삶의 질을 파악하기에도 무리가 따른다.

예컨대 ‘웰빙 선진국’이라 불리는 캐나다와 한국을 비교했을 때, 이 세 가지 지표의 결과는 들쑥날쑥하다.

2014년 한국의 HDI는 0.898로, OECD 평균(0.880)보다 높고 캐나다(0.913)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2013∼2015년 WHR는 HDI와 다른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 157개국 가운데 58위였지만, 캐나다는 6위로 큰 격차가 나타났다.

OECD 38개국을 비교한 BLI도 마찬가지다. 캐나다는 2013∼2015년 5위→6위→5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24위→27위→28위로 바닥이었다.

통계청은 한국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국제기구 지수보다 더욱 촘촘하게 지표를 반영했다.

소득·소비, 고용·임금, 사회복지, 주거, 건강,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 환경, 주관적 웰빙 등 12개 영역, 80개 지표로 구성됐다. OECD의 BLI와 비교하더라도 4배 가까이 사용된 지표가 많다.

따라서 국민 생활의 영역별 시계열 추이를 세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다만 한국만의 상황을 측정하기에 다른 국제지표와 직접 비교할 수는 없다고 통계청은 덧붙였다.

이번 종합지수가 개선된 추세를 나타내더라도, 국제비교 순위에서는 오히려 하락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통계청과 함께 지수를 개발한 ‘한국 삶의 질 학회’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제지수는 지표가 적어 한국 삶의 질 모습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오류가 있다”며 “심도 있게 우리 삶의 모습을 측정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어 지수를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