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삶의 질’ 지수와 차별화…한국 특수성 담아

국제 ‘삶의 질’ 지수와 차별화…한국 특수성 담아

입력 2017-03-15 14:07
업데이트 2017-03-15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민간학회 발표 ‘삶의 질 종합지수’

통계청과 민간학회가 15일 내놓은 삶의 질 종합지수는 기존 국제기구 ‘웰빙’ 지수와는 달리 한국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한국 국민 삶의 질 수준을 체계적으로 관찰해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작성 목적이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더 나은 삶의 지수(BLI)’, 유엔개발계획(UNDP)의 ‘인간개발지수(HDI)’, 유엔의 ‘세계행복보고서(WHR)’는 국가 간 비교를 목적으로 작성된 지수다.

UNDP의 HDI는 기대수명, 기대교육연수, 평균교육연수, 1인당 국민소득(GNI) 등 간단한 4가지 객관 지표로 작성됐다. 유엔의 WHR는 주관 지표만 다룬다.

OECD의 BLI는 주거·소득과 자산·직업과 수입·삶의 만족 등 11개 영역 24개 지표로 구성돼 객관과 주관 지표를 모두 반영한다.

이러한 국제기구 지수는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공통 지표만을 사용해 작성하느라 결과도 제각각일뿐더러, 한국의 실제 삶의 질을 파악하기에도 무리가 따른다.

예컨대 ‘웰빙 선진국’이라 불리는 캐나다와 한국을 비교했을 때, 이 세 가지 지표의 결과는 들쑥날쑥하다.

2014년 한국의 HDI는 0.898로, OECD 평균(0.880)보다 높고 캐나다(0.913)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2013∼2015년 WHR는 HDI와 다른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 157개국 가운데 58위였지만, 캐나다는 6위로 큰 격차가 나타났다.

OECD 38개국을 비교한 BLI도 마찬가지다. 캐나다는 2013∼2015년 5위→6위→5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24위→27위→28위로 바닥이었다.

통계청은 한국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국제기구 지수보다 더욱 촘촘하게 지표를 반영했다.

소득·소비, 고용·임금, 사회복지, 주거, 건강, 교육, 문화·여가, 가족·공동체, 시민참여, 안전, 환경, 주관적 웰빙 등 12개 영역, 80개 지표로 구성됐다. OECD의 BLI와 비교하더라도 4배 가까이 사용된 지표가 많다.

따라서 국민 생활의 영역별 시계열 추이를 세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다만 한국만의 상황을 측정하기에 다른 국제지표와 직접 비교할 수는 없다고 통계청은 덧붙였다.

이번 종합지수가 개선된 추세를 나타내더라도, 국제비교 순위에서는 오히려 하락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통계청과 함께 지수를 개발한 ‘한국 삶의 질 학회’ 김석호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제지수는 지표가 적어 한국 삶의 질 모습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오류가 있다”며 “심도 있게 우리 삶의 모습을 측정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어 지수를 개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