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공인인증서 없어도 신용카드로 본인 확인 된다

7월부터 공인인증서 없어도 신용카드로 본인 확인 된다

입력 2017-03-15 17:19
업데이트 2017-03-15 17: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통위, 신한·KB국민·BC 등 시범사업자 지정…7월께 정식 사업

올해 여름부터 신한·KB국민 등 주요 신용카드만 갖고 있으면 공인인증서가 없어도 온라인에서 쉽게 본인 확인을 할 수 있게 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5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신규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 시범 서비스의 사업자를 확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시범 사업자는 KB국민·신한·하나·현대·삼성·롯데·BC 등 7개 신용카드사와 IT(정보기술) 업체인 한국 NFC다.

이 사업자들은 다음달께 국내 소수 시험 이용자(테스터)를 상대로 신용카드 기반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이어 올해 7월 방통위의 ‘본인확인기관 지정’을 받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서비스는 자기 명의의 신용카드만 있으면 된다. 카드 고객 정보에 주민등록번호 등이 연계된 만큼, 카드 번호와 비밀번호만 제시하면 바로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다.

신용카드사들은 앱카드(스마트카드의 가상카드)를 제시하거나 전화 ARS에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해도 본인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NFC(근거리통신기술) 전문 기업인 한국 NFC는 자기 신용카드를 NFC가 탑재된 스마트폰에 갖다 대면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단말기가 인식한 카드 정보를 신용카드 회사에 저장된 주민등록번호 등 고객 정보와 대조하는 방식이다.

본인 인증은 인터넷 서비스나 게임의 새 계정(ID) 생성이나 상품 결제 등에 꼭 필요한 절차지만 공인인증서를 쓰면 너무 번거롭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 때문에 휴대전화 문자나 아이핀 인증이 널리 퍼졌지만, 이 두 방식도 자기 명의로 개통된 한국 휴대전화가 없는 장기 국외 체류자는 못 쓴다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신용카드 방식은 한국 카드만 유지하면 언제 어디서나 본인 확인을 할 수 있어 외국 주재원이나 유학생 등에게 편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용카드 방식은 결국은 주민등록번호 기반의 본인 확인 기술이라 애초 정부 규제가 복잡해 도입 부담이 컸다.

이 때문에 작년 한국 NFC는 국무조정실에 민원을 내고 규제 간소화 조정안을 받아내, 서비스 시행에 가속이 붙게 됐다.

이 본인 인증은 현재는 방통위가 사업자로 선정한 7개 카드에서만 가능하지만, 다른 시범사업자인 한국 NFC가 그 외 다른 카드를 파트너로 지정할 수 있어 적용 카드의 종류가 더 늘어날 공산도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