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임금 323만원, 대기업 513만원의 63%…격차 20년전보다 커져

中企임금 323만원, 대기업 513만원의 63%…격차 20년전보다 커져

입력 2017-03-22 15:02
업데이트 2017-03-22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기 노동생산성은 대기업의 29% 수준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임금 격차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완화 및 생산성 향상방안 토론회’에서 지난해 중소기업의 임금 총액은 월평균 323만원으로, 대기업(513만원)의 62.9%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정액 급여는 75.6%, 초과급여는 59.6%였고, 성과급 등 특별급여는 28.9%에 머물렀다.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전 산업, 2016년)

┌───────┬───────┬───────┬──────┬──────┐

│구분 │임금총액 │정액급여 │초과급여 │특별급여 │

├───────┼───────┼───────┼──────┼──────┤

│중소규모(5-299│323만원 │266만원 │20만원 │37만원 │

│인) │ │ │ │ │

├───────┼───────┼───────┼──────┼──────┤

│대규모(300인 │513만원 │352만원 │33만원 │128만원 │

│이상) │ │ │ │ │

├───────┼───────┼───────┼──────┼──────┤

│중소규모/대규 │62.9% │75.6% │59.6% │28.9% │

│모 비율 │ │ │ │ │

└───────┴───────┴───────┴──────┴──────┘

자료: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력

특히 제조업 중소기업의 임금 수준이 대기업의 54.9%로 전체 평균보다 많이 떨어졌다.

중소기업 임금 총액은 1997년에는 대기업의 77.3% 수준이었으나 갈수록 낮아져 10여 년 째 60%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정액 급여가 1997년 92.5%에서 지난해 75.6%로, 특별급여가 1997년 52.1%에서 지난해 28.9%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초과급여는 1997년 56.1%에서 지난해 59.6%로 격차가 약간 완화됐다.

※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용임금총액 격차(전 산업·단위 원)

┌──────┬──────┬─────┬─────┬─────┬─────┐

│구분 │1997년 │2002년 │2007년 │2012년 │2016년 │

├──────┼──────┼─────┼─────┼─────┼─────┤

│중소규모(5-2│1,344,227 │1,774,705 │2,425,917 │2,834,116 │3,227,904 │

│99인) │ │ │ │ │ │

├──────┼──────┼─────┼─────┼─────┼─────┤

│대규모(300인│1,739,091 │2,629,474 │3,743,736 │4,423,894 │5,130,569 │

│ 이상) │ │ │ │ │ │

├──────┼──────┼─────┼─────┼─────┼─────┤

│중소규모/대 │77.3% │67.5% │64.8% │64.1% │62.9% │

│규모 비율 │ │ │ │ │ │

└──────┴──────┴─────┴─────┴─────┴─────┘

주: 1999년 이전은 중소규모 (10인~299인), 1999년부터는(5인~299인)임

자료: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력 조사, 각연도

이러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 격차 현상은 국내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미국도 2014년 기준 중소기업 근로자 1인당 연 평균 급여액이 4만2천133달러로 대기업(5만5천416달러)의 76.0% 수준이었다.

일본의 경우 2015년 기준 100인 미만 기업 근로자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연간 371만 엔으로 100인 이상 기업(476만엔)의 77.9% 수준이었다.

기업규모별 노동생산성을 살펴보면 2014년 기준 국내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은 대기업 대비 29.1%로 매우 낮았다.

이 격차는 2008년 33%였으나 격차가 계속 벌어지다가 최근에서야 격차 폭이 다소 감소했다.

자동차(47.8%), 철강(46.5%) 등보다 반도체(26.3%), 휴대전화(9.6%) 등 첨단산업의 생산성 격차가 특히 컸다.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29.1%)은 대기업보다 매우 낮은 편이다.

주요 국가들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을 살펴보면 프랑스는 70.0%, 독일 60.8%, 영국 57.5%, 일본 56.5% 등이다.

중소기업연구원은 이러한 대-중소기업 간의 임금 및 노동생산성 격차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소기업 성과공유제 활성화를 제안했다.

중소기업 성과공유제는 중소기업이 현금, 주식, 공제 및 기금, 동반성장 등의 방법으로 근로자와 성과를 공유하는 제도다.

중소기업이 성과공유제를 활용하는 비율은 2015년 기준 36.0% 정도로 낮은 편이다.

성과공유제를 활용하는 중소기업은 1개사당 평균 1억 1천482만원의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매출액 대비 0.65%에 불과하다.

해당 연구를 진행한 노민선 중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직원의 73.0%가 성과공유제가 기업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며 “핵심 인력의 장기 재직에 영향을 미친다고 대답한 비율도 높은 편이었다”고 전했다.

노 연구위원은 성과공유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기업 미래가치나 이익을 근로자와 공유하기로 약정하는 ‘미래성과공유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소기업은 성과공유를 확산하기 위해 기업 문화를 혁신하고, 정부는 ‘미래성과공유제’를 도입하기로 한 기업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노 연구원은 “전년보다 근로자에게 임금을 더 많이 준 중소기업에 세제 혜택을 주는 등 정부가 나서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대기업도 납품단가를 현실화하는 등 협력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 성과가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재직자 교육을 강화해 장기재직을 유도하는 동시에 성과공유 우수사례를 발굴 및 홍보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