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락세 잦아든 원/달러 환율…3.0원 오른 1,123.3원 마감

급락세 잦아든 원/달러 환율…3.0원 오른 1,123.3원 마감

입력 2017-03-22 15:58
업데이트 2017-03-22 15: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엔/원 환율 1,000원대 회복

원/달러 환율의 급락세가 잦아들었다.

22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달러당 3.0원 상승한 1,123.3원으로 장을 마쳤다.

원/달러 환율은 2.2원 오른 1,122.5원으로 개장한 후 상승 폭을 확대했다. 장중 한때 1,127.9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미국 금리 인상 직전인 지난 14일부터 20일까지 나흘간 28.7원 하락하는 급락세를 보인 원/달러 환율 쏠림이 어느 정도 진정된 셈이다.

이달 중순 이후 거침없는 원화 강세는 미국 달러화의 약세에서 비롯됐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융시장 예상보다 완만한 금리 인상을 시사하면서 달러화가 약세 기조를 보였다.

여기에 다음 달 미국 재무부의 환율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우리나라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와 외국인 투자자의 주식·채권 투자자금 유입이 겹쳤다.

원/달러 환율 급락 흐름을 멈추게 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시행이 지연될 수 있다는 금융시장의 우려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새로운 건강보험 체계인 ‘트럼프케어’가 23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미국 하원 표결서 통과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지난밤 미국 뉴욕증시는 1% 이상 하락했다.

미국 국채금리 역시 하락세를 보였고, 유로·일본 엔화·영국 파운드 등 6개 주요국 통화와 비교한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인 달러화 지수는 100 이하로 떨어졌다.

달러화 가치가 더 떨어졌는데도 원화가 약세로 돌아선 것은 미국 증시가 급락하는 등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산된 데 따른 것이다.

이날 외국인 투자자들은 오후 3시 30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주식 1천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시장에서도 216억원어치를 팔았다.

전날 외환당국의 개입으로 추정되는 물량이 들어와 원/달러 환율의 하락세를 막으면서 추가 하락이 어려울 것이라는 시장 참가자들의 경계감도 생겼다.

유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최근 원화 강세 현상에 대해 “변동성이 조금 크지만, 문제가 될 정도로 가파르지는 않다”고 말했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앞으로 미국 증시의 조정 강도가 원/달러 환율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트럼프케어가 미국 하원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예산안과 재정정책 통과도 어려울 수 있다는 시그널로 작용하며 미국 증시 추가 하락, 원/달러 환율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케어가 하원을 통과한다면 원/달러 환율은 다시 1,110원대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

원/엔 재정환율은 오후 3시 30분 현재 100엔당 1,006.77원으로 전날 3시 30분 기준가보다 13.11원 올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