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팽한 민의’…50.44% “분배 우선” vs 49.56% “성장 우선”

‘팽팽한 민의’…50.44% “분배 우선” vs 49.56% “성장 우선”

입력 2017-03-28 09:25
업데이트 2017-03-28 09: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사연·서울대 국민인식 조사…82% “고소득층 세금 적게 낸다”

우리나라 국민은 분배와 성장 중 어느 것이 우선인지를 놓고 거의 정확히 의견이 양분된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보건사회연구원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가 2016년 3월 초∼6월 초 전국 1천951가구의 가구원 3천4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지인식 조사 결과를 담은 ‘2016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성장과 분배 중 어느 것이 중요한지에 대한 질문에 조사대상자의 50.44%가 ‘분배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나머지 49.56%는 ‘성장이 중요하다’는 편에 섰다

가구 유형별로는 저소득 가구원의 53.55%가 ‘분배가 중요하다’고 답해 일반 가구원(49.87%)과 비교해 분배를 상대적으로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사회복지를 위해 세금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 31.24%가 동의했지만, 이보다 다소 많은 35.4%는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33.36%는 동의도 반대도 하지 않는 중립적인 태도를 취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 세금을 줄여야 한다’는 전제에는 중립이 39.41%로 가장 많았다. 동의는 33.14%, 반대는 27.45%였다.

‘복지는 전 국민이 아니라 가난한 사람에게만 제한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에는 44.56%가 동의했고, 34.76%는 반대했다.

‘노동능력이 있거나 일자리가 있어도 가난한 사람에게는 국가가 최소생계를 보장해야 한다’는 항목에는 동의 38.85%, 반대 38.83%로 찬반이 거의 같았다.

‘사회복지를 늘리면 국민의 일할 의욕이 떨어진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그렇다’ 43.98%, ‘보통’ 17.13%, ‘그렇지 않다’ 38.89%의 응답 분포를 보였다.

‘국가의 건강보험을 축소하고, 민간의료보험을 확대해야 한다’는 견해에는 71.28%가 반대한 반면 찬성은 10.29%에 불과해 건강보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했다.

대학교육을 포함한 모든 교육의 무상제공에 대해서는 반대가 59.38%에 달한 반면 찬성은 21.0%에 그쳤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무상제공에 대해서는 찬성 55.33%, 반대 21.33%를 나타내 대조를 보였다.

고소득층이 현재 내는 세금 수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물어보니, 81.59%가 낮다(‘꽤 낮다’ 43.38%, ‘지나치게 낮다’ 38.21%)고 답했다. 적절한 편이라는 응답은 10.19%에 불과했다.

이에 반해 중간층의 세금부담 수준에 대해서는 46.12%는 적절한 편이라고 답했지만, 35.07%는 높다(‘지나치게 높다’ 3.18%, ‘꽤 높다’ 31.89%)고 여겼다.

복지예산을 늘리기 위해 세금을 더 걷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찬성 47.59%(‘매우 찬성’ 4.88%, ‘찬성’ 18.67%, ‘대체로 찬성’ 17.72%), 반대 34.71%(‘대체로 반대’ 19.92%, ‘반대’ 11.24%, ‘매우 반대’ 3.55%)로, 찬성이 반대보다 높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