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6% “가족위기 겪었다”…원인은 ‘경제적 위기’가 최다

국민 46% “가족위기 겪었다”…원인은 ‘경제적 위기’가 최다

입력 2017-06-11 10:31
업데이트 2017-06-11 1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사연 ‘가족위기에 대한 인식태도 및 실태조사’ 결과

국민 절반에 가까운 사람이 살면서 가족위기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위기의 원인은 경제적인 이유가 가장 많았다.

1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하는 보건복지포럼에 실린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가족위기 특성과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족위기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실태조사’에 응한 1천500명 중 46.1%가 가족위기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이들이 겪은 가족위기의 유형으로는 경제적 위기가 61.6%로 가장 많았다. 가족관계 위기는 34.5%, 자녀 돌봄이나 노부모 부양 위기는 30.8%였다.

모든 연령대에서 경제적 위기가 가장 많았지만, 특히 20대는 경제적 위기가 67.2%로 가장 높았다.

경제적 위기 다음으로 20대, 30대, 40대는 ‘가족관계의 위기’가 각각 34.7%, 39%, 37.8%로 비중이 높았다. 반면에 50대와 60대는 자녀 돌봄·노부모 부양 위기가 각각 39.7%, 44.5%나 됐다.

가족위기 발생의 직접적인 원인은 경제생활상의 어려움이 47.5%(중복응답 포함)로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자녀양육·부모부양(31.7%), 실직, 직장 및 취업 문제(24.3%), 가계부채(21.7%), 가족원의 갑작스러운 질병(18%), 가계파산·부도(17.7%), 가족원의 성격·사고방식(13.7%) 등이 꼽혔다.

응답률은 10% 미만이지만 부부나 부모-자녀 관계, 중독이나 우울증 등 정신적 문제, 가족원의 생활방식, 자살, 재난 등 다양한 원인도 제기됐다.

가족위기를 경험한 평균 기간은 6년으로, 많은 이들이 5∼10년 이상 오랜기간 가족위기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위기를 겪으며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는 가족 안에 의존할 사람이 없다(32.7%)거나 물적 자원이 부족하다‘(30.7%)는 응답이 많았다.

이외에 어디에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몰랐다는 응답이 15.4%, 복지 지관이나 국가의 도움이 없거나 적절한 시점에 도움을 받지 못했다는 응답이 12.1%였다.

보고서는 “사회적 안전망이 구축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족·사회 변화와 응급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기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생산하고 이를 가속함에 따라 매우 시급한 사회문제로 대두한다”며 “가족위기 상황의 특성에 맞춰 공적 지원이 적절하게 투입될 수 있는 시스템이 체계화되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