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 잃은 반려동물 하루 245마리꼴…20%는 안락사

주인 잃은 반려동물 하루 245마리꼴…20%는 안락사

입력 2017-06-11 11:07
업데이트 2017-06-11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역본부, 동물보호·복지 관리 실태 조사

지난해 구조된 유기동물이 하루 평균 245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은 8만9천732마리로, 9만 마리에 육박했다.

전년 대비 9.3%나 증가했고, 2014년(8만1천200여 마리) 이후 3년 연속 증가했다.

이는 검역본부가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동물의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하루 평균으로 환산하면 매일 245마리씩 사실상 버려진 셈이다. 구조되지 않은 유기동물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4년부터 의무화된 반려동물 등록제에 따라 작년 한 해 전국 지자체에 새로 등록된 개가 9만1천여 마리인 점을 고려하면, 신규 등록된 반려견 수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유실·유기동물이 발생했다는 의미다.

버려진 동물이 증가하면서 각 지자체의 유실·유기 동물 구조·보호 및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도 전년 대비 18%가량 증가한 114억8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유기동물 종류별로는 개가 6만3천600여 마리(70.9%)로 가장 많았고, 고양이는 2만4천900여 마리(27.8%), 기타 1천200여 마리(1.4%) 순이었다.

구조된 뒤 동물보호센터에 입소한 유실·유기동물의 30.4%는 다른 곳에 분양됐으며, 자연사(25%), 안락사(19.9%), 소유주 인도(15.2%) 순으로 보호형태가 달랐다.

안락사 비중이 2014년 이후 줄어드는 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5마리 중 1마리꼴로 안락사 되는 셈이다.

이번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동물보호센터는 총 281개소(직영 26개소, 위탁 250개소, 시설위탁 5개소)로 전년보다 8.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물보호센터가 광역화·대형화되고 시·군에서 직접 관리하는 직영 또는 시설위탁형 동물보호센터가 증가함에 따라 줄어든 것이라고 검역본부는 설명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해마다 계속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등록이 완료된 개는 총 107만700마리로, 처음으로 1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신고·등록된 반려동물과 관련된 생산·판매·장묘업체는 4천180개, 종사자는 5천500여 명으로 조사됐다.

검역본부 관계자는 “반려동물 문화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동물보호 특별사법경찰 제도의 도입을 추진해 동물 학대에 대한 단속 및 처벌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주요 지자체별로 시행하는 길고양이 중성화 지원 사업(Trap Neuter Return·포획해 중성화한 뒤 다시 방사하는 것) 결과 작년 3만3천313마리가 중성화됐고, 42억9천400만 원이 소요된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대상 길고양이 수는 7천여 마리(26.6%), 비용은 11억5천500만 원(36.8%) 증가했다.

이 밖에도 지난해 사용된 실험동물은 전년 대비 14.8% 증가한 287만9천 마리였고, 동물복지 강화를 위해 시행 중인 ‘동물복지 인증농장’은 36농가가 추가돼 총 114개로 집계됐다고 검역본부는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