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영세업자 증가세…2년여만에 최대

‘나홀로’ 영세업자 증가세…2년여만에 최대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7-10-06 13:38
업데이트 2017-10-06 1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8월 기준 413만 7000명

이미지 확대
쌓여만 가는… 자영업자의 눈물
쌓여만 가는… 자영업자의 눈물 주방기기의 메카로 불리는 서울 동대문구 황학동 주방용품 거리입니다. 온갖 종류의 주방용품이 한자리에 모여 있어 요식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씩은 들르는 곳입니다. 최근 이곳엔 얼핏 봐도 새것처럼 보이지 않는 물건들을 파는 상점들이 하나둘 늘고 있습니다. 불경기로 인해 폐업을 하게 되면서 냉장고·그릇·국자 등 중고 주방기기들을 전문적으로 수거해 판매하는 상점이 하나둘 들어서면서 생긴 풍경입니다. 이제는 우리 사회가 좀더 적극적인 자세로 이 문제의 해결점을 찾아 폐업의 기로에 선 자영업자들의 얼굴에 웃음을 되찾아 주었으면 합니다.
박지환 기자popocar@seoul.co.kr
고용없는 이른바 ‘나홀로’ 자영업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에 비해 실업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인한 생계형 창업자가 여전히 많다는 것으로 고용의 질이 악화되고 있다는 뜻이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제조업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1년간 계속된 자영업자 증가세는 멈췄지만 ‘나홀로’ 일하는 영세 자영업자는 여전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3만 2000명(0.8%) 늘어난 413만 7000명으로 집계됐다. 2014년 10월 414만 7000명을 기록한 이후 2년 10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고용원이 없는 영세 자영업자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 비해 실업 등 비자발적인 사유에 따른 생계 목적 창업이 많은 편이다.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들이 몰리는 식당 창업 등이 대표적인 영세 자영업 중 하나다.

반면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지난해 9월 이후 9개월 연속 늘어나다가 지난 6월부터 줄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달에는 1년 전보다 3만 5000명이 줄면서 전체 자영업자 수도 지난해 7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난 6월 제조업 취업자 수가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일부 고용지표가 호전되면서 생긴 현상이다.

상용직 취업자 수 증가 폭은 6월 31만 6000명, 7월 38만 8000명, 8월 46만명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일부 자영업자들이 안정적인 상용직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와 달리 영세 자영업자가 계속 늘고 있는 것은 저소득층 위주로 고용 한파가 계속되고 있다는 뜻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자영업자가 줄어든 반면 상용직은 늘고 있어 전반적으로 고용 안정성이 높아졌다”면서도 “자영업자 중에서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만 늘어나는 등 오히려 고용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