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면접시간이 빨리 끝났다면?

입사 면접시간이 빨리 끝났다면?

박현갑 기자
박현갑 기자
입력 2017-10-18 09:00
업데이트 2017-10-18 0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인 조사결과,인사담당자 77% 면접 중 당락 결정

입사여부, 면접 중 결정
입사여부, 면접 중 결정 자료 : 사람인
기업 10곳 중 8곳은 면접 중에 채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194개사를 대상으로 ‘면접 중 당락 결정’에 대해 조사한 결과, 77.3%가 면접이 끝나기 전에 당락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자들의 당락을 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18분이었으며, 한 명당 소요되는 면접시간은 평균 28분이었다.

이 때 당락은 ‘불합격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더 많다’는 응답이 59.3%로 ‘합격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더 많다’(21.3%)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면접 중 당락 결정에 따라 면접 시간도 차이를 보였다. 합격이 확실시 될 경우 ‘질문이 많아져 더 늦게 끝낸다’가 49.3%로 1위였다면, 불합격일 경우에는 ‘예정보다 빨리 끝낸다’(66%)가 단연 높았다.

인사담당자들은 면접에서 당락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평가 요소로 ‘직무 적합성’(32%)을 1순위로 꼽았다. 다음으로 ‘인성(도덕성 등)’(18.7%), ‘자신감 있는 면접 태도’(12%), ‘조직 적응력 및 사회성’(10.7%), ‘애사심과 근무의지’(9.3%), ‘면접 에티켓’(6.7%) 등이 있었다.

그렇다면 면접 중에 합격으로 결정되는 지원자의 유형은 무엇일까?

‘직무지식 및 역량을 갖춘 지원자’(32.7%)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자신감 있고 적극적인 성향의 지원자’(22%), ‘질문 요지에 맞춰 핵심을 말하는 지원자’(20%), ‘확고한 입사의지를 보여주는 지원자’(16.7%), ‘인사 등 면접 예절이 뛰어난 지원자’(6%) 등의 순이었다.

반면 불합격으로 결정되는 지원자 유형 1위는 ‘입사의지가 없어 보이는 지원자’(30.7%)였다. 계속해서 ‘소극적이고 우물쭈물하는 지원자’(18%), ‘직무에 대해 아는 것이 부족한 지원자’(17.3%), ‘동문서답하는 지원자’(12.7%), ‘인사 생략 등 예의 없는 지원자’(8.7%), ‘찌푸린 얼굴 등 인상이 나쁜 지원자’(6.7%) 등으로 이어졌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첫인상은 면접 전반에 영향을 미쳐 지원자들의 답변뿐 아니라 태도나 표정 등도 모두 평가 대상이 되고, 그것들이 쌓여 합격여부가 결정되는 만큼 초반부터 본인의 강점을 어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질문의 핵심을 파악해 직무 능력을 강조할 수 있는 답변과 함께 자신감, 예의 바른 태도를 통해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