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반 친구에게 가장 많이 당해”

“학교폭력, 반 친구에게 가장 많이 당해”

입력 2017-10-18 14:08
업데이트 2017-10-18 14: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학생복, 학교폭력 실태 설문조사

학생 폭력의 70% 이상이 초등학교 때 가장 처음 일어나고, 같은 반 친구에게 당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학생복은 2∼9일 스마트학생복 공식 페이스북 및 카카오스토리에서 초·중·고교생 총 1만4천671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실태를 조사한 결과 31%의 학생들이 학교폭력 피해 또는 가해 등의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학교폭력 피해 학생 중 73%는 ‘초등학교 때 처음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답했다.

과반수인 54.8%의 학생이 ‘초등학교 고학년 때’라고 답했다.

뒤이어 24.4%의 학생들은 ‘중학교 때’, 17.9%의 학생들이 ‘초등학교 저학년 때’를 골랐다.

어떤 종류의 폭력인지를 묻는 말에는 40.4%의 학생들이 ‘욕설·험담·협박 등 언어폭력, 33.2%의 학생들이 ’메신저·SNS를 통한 괴롭힘이나 따돌림‘이라고 답했다.

’주먹질, 도구 사용 등 신체 폭력‘을 당했다는 학생들도 8%나 됐다.

학교폭력이 주로 발생하는 장소는 ’교실, 체육관 등 교내‘가 51.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는 응답이 23.2%, ’온라인이나 모바일‘이 20.8%였다.

학교폭력 가해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가장 많은 68.7%의 학생들이 ’같은 반 친구‘라고 답했다.

21.9%는 ’같은 학년 친구‘, 4.3%의 학생들은 ’같은 학교 선배‘를 골랐다.

학교폭력을 당했을 때 도움을 구한 적 있느냐는 질문에는 62.4%의 학생들이 ’있다‘고 답했다.

도움을 구한 대상으로는 ’선생님 또는 학교‘, ’부모님‘, ’친구‘가 각각 36.9%, 32.2%, 19.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움을 구하지 않은 학생들은 34.8%가 ’부모님이 속상해할까 봐‘ 구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22.6%는 ’남들이 해결해주지 못해서‘, 14.5%는 ’보복이 두려워서‘를 골랐다.

학교폭력에 가담한 학생들은 27.5%가 ’친구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를 이유로 꼽았다.

’친구가 내 험담을 하고 다녀서‘, ’다른 친구들이 하니까‘라고 답한 비율은 각각 20%, 17.5%였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학생들에게 어떤 행동을 취했는지 묻는 말에는 42.8%의 학생이 ’선생님, 부모님 등 주변 어른들에게 알렸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는 ’직접 나서서 친구를 도와줬다‘고 답했으나 ’나한테 피해가 올까 두려워 모르는 척 했다‘고 답한 학생도 17.7%나 됐다.

학교폭력 문제가 이슈화됨에도 지속해서 발생하는 이유로는 33.2%의 학생들이 ’나만 아니면 된다는 학생들의 잘못된 인식‘을 꼽았다.

24.2%의 학생은 ’가해자들에 대한 경미한 처벌제도‘라고 답했다.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시행하는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대해서는 41.3%의 학생들이 ’조사에만 그치고 대책과 연결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1%는 ’의무적인 조사로 성실한 답변이 어렵다‘를 골랐다.

’실질적 도움이 된다‘, ’폭력에 대한 공론화만으로도 조금은 도움이 된다‘고 답한 학생들도 각각 17.2%, 12.2%였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묻는 말에는 31.7%의 학생들이 ’가해 학생 엄벌‘, 29.9%가 ’청소년법 개정 등 사회적 처벌 강화‘를 골랐다.

스마트학생복 관계자는 “학생들이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바른 인식을 확립할 수 있도록 공식 SNS를 통해 설문 결과를 공개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개선 및 긍정적인 교우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성 콘텐츠를 제공, 학생들과 지속해서 소통하겠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