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대책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작년의 26% 그쳐

8·2대책으로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작년의 26% 그쳐

입력 2017-10-30 10:52
업데이트 2017-10-30 1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출규제 등으로 사지도 팔지도 못해…강북권 거래도 크게 줄어

이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의 4분의1 수준으로 금감했다. 8·2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매수·매도자의 관망세가 짙어지며 거래 위축이 심화된 모습이다.

3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0월29일 현재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3천145건으로 일평균 108.4건 신고됐다.

지난해 10월 한 달 1만2천878건, 일평균 415.4건 거래된 것과 비교해 74.0% 줄어든 것이다.

이런 추이라면 이달 31일까지 한달 간 신고 건수는 3천400건에도 못미칠 전망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지난 8월 1만4천775건으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9월 8천367건으로 감소하고, 10월에는 다시 61.1% 줄면서 9월의 38.9% 선으로 쪼그라들었다.

주택거래신고 기간이 계약후 60일이어서 이달 신고분에 8·2대책으로 인한 거래 감소 경향이 대거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8·2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내 재건축 조합원 지위양도가 금지되고 강남권과 노원구 등 11개구 투기지역에서는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도 10% 중과되면서 전반적으로 매물이 감소했다.

또 서울 등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대폭 강화됨에 따라 집을 팔기도, 사기도 어려운 상황이 심화되고 있다.

가계부채대책·주거복지로드맵 등 후속 대책 발표 지연으로 매도·매수자들이 관망하며 의사결정을 미룬 영향도 거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거래량 급감은 주로 비강남권에서 두드러졌다. 당초 강남권으로 한정될 것으로 예상됐던 투기과열지구 지정이 서울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비강남권의 심리적 타격이 상대적으로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대비 거래량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동작구로 10월 현재까지 101건이 신고되는데 그쳤다.

일평균 약 3.5건이 거래된 것으로 작년 10월에 총 580건, 일평균 18.7건이 신고된 것과 비교해 81.4%가 감소했다. 동작구의 거래량은 9월 신고분(334건)과 비교해서도 68.4% 줄었다.

두번째로 감소폭이 큰 곳은 성동구로 10월 현재까지 85건, 일평균 2.9건이 신고됐다. 작년 10월(총 482건, 일 15.5건)대비 81.1% 감소한 것이다.

마포구는 10월 현재 101건, 일평균 3.5건이 신고돼 지난해(509건, 일 16.4건)의 78.8%, 용산구는 10월 현재 63건, 일평균 2.2건으로 지난해(283건, 9.1건)보다 78.8% 각각 줄었다.

일명 ‘마용성’으로 불리며 강북 아파트값 상승세를 주도했던 마포·용산·성동구도 8·2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와 투기지역으로 중복 지정되면서 거래가 눈에 띄게 축소된 것이다.

역시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노원구도 작년 10월 1천265건이던 거래량이 올해 10월 현재 283건으로 76% 급감해 거래 위축을 실감케했다.

강남권에서는 강동구의 거래량이 가장 많이 줄었다. 둔촌 주공아파트 등 재건축 단지의 거래 감소로 10월29일 현재 156건만 신고됐다. 작년 10월(총 858건)보다 80% 이상 감소한 수치다.

송파구는 10월 현재 182건으로 작년 대비 79.4%, 서초구(137건)는 75%, 강남구(186건)는 73%가 각각 줄었다.

전문가들은 내년부터 대출을 지금보다 더욱 옥죄는 새로운 총부채상환비율(DTI)와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이 본격 시행되고, 4월에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도 도입됨에 따라 내년 이후 거래절벽이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114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내달 발표될 주거복지로드맵 내용을 봐가며 다주택자들이 내년 4월 양도세 중과 전까지 주택을 매도할 것으로 보여 12월부터 매물이 다소 증가할 수 있다”며 “그러나 전방위적인 대출 규제로 매수자의 돈줄이 막히면서 시장에 나온 매물이 얼마나 소화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