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에… 아모레퍼시픽 실적 ‘뚝’

사드 보복에… 아모레퍼시픽 실적 ‘뚝’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7-10-30 23:02
업데이트 2017-10-31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분기 영업익 전년比 40% 감소

현대모비스도 매출·영업익 타격

사드 보복 등의 여파로 국내 화장품과 자동차 부품사를 대표하는 아모레퍼시픽과 현대모비스의 3분기 실적이 나란히 뒷걸음질쳤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관광객이 크게 줄면서 2분기에 이어 3분기 실적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9.7% 감소한 132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조 4187억원으로 14.2%, 당기순이익은 1025억원으로 32.3% 각각 줄었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국내 사업 부진이 심화하면서 매출액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3.6% 줄어든 2조 2099억원, 영업이익은 39.7% 감소한 1011억원을 기록했다.

중저가 브랜드인 이니스프리도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각각 20%, 45% 하락한 1412억원과 205억원으로 집계됐다.

아모레퍼시픽은 포트폴리오가 화장품 분야에 집중돼 있는 데다 중국 시장의 의존도가 약 60%를 넘어 타격이 컸다. 아모레 관계자는 “한국을 찾는 중국 관광객 수가 매우 줄어들면서 면세점부터 백화점, 일반 매장까지 광범위한 타격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3분기 영업이익이 5444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4.5% 감소했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중국에서 판매 부진을 겪으면서 같은 기간 매출액은 8조 7728억원으로 0.1%, 당기순이익은 4822억원으로 31.7% 떨어졌다.

올 3분까지 누적 매출액은 26조 3229억원, 영업이익은 1조 7066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5.9%, 23.3% 감소했다.

현대 모비스 관계자는 “전체 사업 외형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모듈 및 핵심 부품 제조부문에서 중국 완성차 물량 감소로 고정비 부담이 증가한 데다 위안화 약세 등 환율효과가 겹쳐 매출과 손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단 3분기 애프터서비스 부품 사업의 원가 절감 등으로 최악의 상황은 벗어났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10-3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