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대체 사료작물 종자 35% 수입해야”

“쌀 대체 사료작물 종자 35% 수입해야”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10-30 23:02
업데이트 2017-10-31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옥수수 등 국산 품종 개발 시급

내년 쌀 생산조정제 차질 우려
쌀 공급량을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생산조정제가 도입되지만 정작 벼 대신 심을 작물의 종자가 부족해 목표량의 35%는 수입산 씨앗을 심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우리 농업이 지나치게 쌀에 의존해 왔음을 단적으로 말해 주는 실상이다. 농업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다양한 대체작물 품종을 개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촌진흥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 생산조정제 시행을 위해 콩, 팥 등 밭작물 종자 1250t과 사료용 옥수수 등 조사료(사료용 작물) 1250t을 합쳐 2500t의 종자를 확보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우선 국립종자원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통해 943.9t의 국산 종자를 확보했다. 생산조정제 적용 면적 5만㏊ 가운데 2만㏊를 채울 수 있는 양이다.

농진청은 신기술시범단지와 각 시·도 종자관리소를 통해 690.1t의 종자를 추가로 확보하겠고 밝혔다. 이렇게 국산 종자를 최대한 긁어모으면 필요량의 65%인 1634t이 확보된다. 나머지 모자란 종자 866t은 수입하겠다는 것이 농진청의 입장이다. 수입이 필요한 종자는 모두 조사료 품목이다.

정부는 국내 농산물 수급 불안을 일으킬 수 있는 밭작물보다는 사료 작물을 중심으로 벼를 대체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조사료 국산 종자가 크게 부족한 상황을 미리 고려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게다가 생산조정제 적용 면적은 2020년까지 매년 5만㏊씩 늘어날 계획이어서 종자 수급난이 가중될 우려가 크다.

김 의원은 “쌀 중심의 획일적 구조를 유지해 온 우리 농업의 민낯이 드러난 것”이라면서 “일본처럼 쌀 대신 심을 수 있는 다양한 사료용 벼 품종을 개발하고 직불금 지원 체계를 개선해 농업의 다양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10-31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