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는 대출금리, 기는 예금금리…예대금리차 3년3개월 만에 최대

뛰는 대출금리, 기는 예금금리…예대금리차 3년3개월 만에 최대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3-27 13:36
업데이트 2018-03-27 1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정금리 비중, 4년 만에 최저…가계대출 금리는 6개월 만에 꺾여

예금금리보다 대출금리가 더 크게 오르며 예대 금리 차가 3년 3개월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금리 상승에 대비해 가계의 부담을 줄이고자 금융당국이 고정금리 비중을 높이려 하지만 가계 신규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은 4년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18년 2월 중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보면 지난달 잔액 기준 총수신금리는 연 1.23%로 한 달 전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총대출금리는 0.03%포인트 상승한 연 3.56%를 기록했다.

대출에서 예금금리를 뺀 예대 금리 차는 2.33%로 한 달 전보다 0.01%포인트 확대됐다.

예대 금리 차는 2014년 11월(2.36%)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과거 저금리 대출이 빠져나가고 새롭게 고금리 대출이 편입되면서 예대 금리 차가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금리 인상기임에도 예금은행 대출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떨어졌다.

지난달 예금은행 대출금리는 연 3.68%로 한 달 전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예금은행 대출금리가 하락하기는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이다.

가계대출 금리는 3.65%로 0.06%포인트 하락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3.46%)가 0.01%포인트, 집단대출(3.39%) 0.06%포인트, 예·적금 담보대출(3.04%) 0.02%포인트, 일반 신용대출(4.42%) 0.05%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반면 기업대출금리는 3.68%에서 3.69%로 상승했다.

대기업 대출금리(3.31%)는 0.02%포인트 떨어졌지만,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3.92%로 변동 없었다. 금리가 높은 중소기업 대출비중이 전월보다 늘어 기업대출 금리가 0.01%포인트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금리가 최근에 상승기를 타다가 조정기를 거치는 것”이라며 “가계대출 금리가 내린 데는 최근 일부 금융기관의 저금리 대출 특별판매 등의 영향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24.3%에 그쳤다. 이는 2014년 2월(23.8%) 이후 최저다.

금융당국이 올해 말까지 은행권에 주택대출 고정금리 비중을 47.5%를 채워야 한다고 했지만, 고정금리 비중은 작년 9월을 마지막으로 30%대로도 올라서지 못하고 있다.

고정금리 비중이 높은 주택담보대출이 대출 규제 정책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해가는 탓이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에 저금리다 보니 금리가 낮은 변동금리를 선호하는 경향도 있다”고 말했다.

예금은행 수신금리는 전월과 같은 연 1.80%였다.

정기예금 금리는 0.01%포인트 떨어진 1.75%, 정기적금 금리는 반대로 0.04%포인트 상승한 1.85%였다.

비은행 금융기관 대출금리는 신용협동조합(4.75%→4.86%), 상호금융(4.06%→4.09%)에서 오르고 상호저축은행(11.42%→10.83%), 새마을금고(4.13%→4.07%)에서 떨어졌다. 저축은행 대출금리가 크게 내린 데는 가계의 고금리 신용대출 취급 비중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예금금리는 상호저축은행(2.47%→2.48%), 신용협동조합(2.28%→2.33%), 상호금융(1.90%→2.05%), 새마을금고(2.26%→2.31%)에서 모두 올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