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사회 고령화 심화…60대 이상이 30대 이하의 2배

교수사회 고령화 심화…60대 이상이 30대 이하의 2배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5-13 10:23
업데이트 2018-05-13 1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2∼2016년 60대 이상 64% 급증…39세 이하 19.4% 급감

교수사회의 고령화가 심화하며 ‘신진연구자’인 30대 이하 교수 숫자가 4년 새 60대 이상 교수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의 ‘전국대학 연구활동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4년제 대학 전임교원 수는 2016년 7만4천461명으로, 2012년 7만914명보다 3천547명(5%) 증가했다.

2016년 전임교원을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교수가 1만3천803명으로 4년 전보다 5천387명(64%) 급증했다. 전체 교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1.9%에서 18.5%로 높아졌다.

50대는 2만8천536명으로 4년 새 375명(1.3%) 증가하는 데 그쳤다.

40대는 2만5천182명으로 541명(2.1%) 줄었다.

신진연구자로 분류되는 39세 이하 교수 수는 2012년에는 8천614명으로, 60대 이상보다 200명가량 많았지만 2016년에는 6천940명으로 1천674명(19.4%) 급감하며 60대 이상의 절반에 불과했다.

신진연구자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년 새 12.1%에서 한자릿수인 9.3%로 떨어졌다.

60대 이상과 30대 이하 교수 숫자가 크게 벌어진 것은 박사 학위를 딴 후 신임 교수가 되기까지 기간이 길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교수사회의 고령화가 심화하면 전체 교수사회의 연구 경쟁력이 약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0대 이하 교수는 1인당 연구비가 2016년 2천697만원으로 전체 평균(5천701만 원)의 절반에도 못 미쳤지만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전문학술지에 실린 논문 수는 1인당 0.48편으로 평균(0.39편)의 123%에 달했다.

60대 이상은 1인당 연구비가 4천440만원으로 30대 이하의 1.6배였지만 SCI급 논문 수는 0.25편으로 30대 이하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전체 논문 수에서도 60대 이상은 0.64편으로 30대 이하의 0.82편에 못 미쳤다.

KISTEP 의뢰로 보고서를 작성한 김소형 한국연구재단 연구위원은 “박사 학위를 딴 뒤 포스트닥터(박사후과정)를 마칠 때까지 기간이 길어지면서 신진 교원의 나이가 많아지고 있다”며 “연구 경쟁력 약화를 막기 위해 도전적 연구에 적극적인 신진 연구원에 대한 투자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