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주택대출금리 2∼3주새 ‘껑충’…연내 5% 또 넘본다

은행 주택대출금리 2∼3주새 ‘껑충’…연내 5% 또 넘본다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9-30 10:52
업데이트 2018-09-30 1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금리인상에 10bp 넘게 상승…혼합형 주담대 금리 4% 중반

한동안 주춤했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최근 2∼3주 동안 시장금리 상승세를 타고 뛰어오르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에 따라 주택 관련 대출 규제가 복잡해지면서 수요자들 사이에서 일부 혼선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한 은행의 대출 창구 모습.  연합뉴스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에 따라 주택 관련 대출 규제가 복잡해지면서 수요자들 사이에서 일부 혼선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지난 13일 서울 여의도 한 은행의 대출 창구 모습.
연합뉴스
한국은행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시 5%를 넘기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전망도 나온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달 1일 주요 시중은행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가이드금리(5년간 고정금리, 이후 변동금리)는 3주 전보다 10∼12bp(1bp=0.01%포인트) 오른 4% 중반을 오갈 예정이다.

KB국민은행의 경우 다음달 1일 기준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47∼4.67%로, 3주 전보다 11bp 상승했다.

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범위는 이달 10일부터 26일까지 연중 최저인 3.36∼4.56%에 머무르다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상 결정을 기점으로 뛰어올랐다.

같은 시점 신한은행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44∼4.55%로, 3주 전(3.33∼4.44%)보다 11bp 상승했고, NH농협은행의 경우 3.13∼4.47%로 역시 같은 기간 12bp 올랐다.

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저·최고 모두 3주 전 대비 12bp 오른 3.40∼4.40%였다.

KEB하나은행의 가이드금리는 9.7bp 오른 3.136∼4.336%였다. 가산금리는 변동이 없었지만,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움직임이다.

시중은행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올들어 한때 5%를 넘나들었지만, 그간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최근 4% 초반까지 빠졌다.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듯싶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시 오른 것은 이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세 번째 금리 인상을 전후해서다.

금리 인상 기대가 선반영되면서 주요 시중은행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최고 4.72%까지 올랐다.

이 추세면 4분기에 금리가 5%의 벽을 다시 넘는 것도 어렵지 않다.

이미 지난 3월과 5월 시중은행의 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5%를 넘긴 전력이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산금리는 내내 동결 상태”라며 “기준이 되는 시장금리에 따라 대출금리가 움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연내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고 시장금리는 인상 결정을 전후해 오르기 때문에 연내 5% 도달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미 8월 금통위에서 매파적인 목소리가 두드러졌다”며 “10월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11월 인상 가능성이 좀 더 높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국내 경제 상황을 고려해 아무리 금리 인상을 늦춘다고 하더라도, 미국 연준이 내년에도 금리를 끌어올리겠다고 공언한 상황에서 더 이상 금리 차가 벌어지게 두기는 어렵다.

강 연구원은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차가 벌어진 데 따른 자금 이탈이 올해는 발생하지 않겠지만, 내년에 미국 금리가 3%대로 올라가는 상황은 우려된다”며 “(한은이) 우선 한 차례 금리를 올리고 여건을 봐서 따라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