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리멤버 180 프로젝트’… 한국전 참전 노병을 기억합니다

한화 ‘리멤버 180 프로젝트’… 한국전 참전 노병을 기억합니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8-10-04 22:22
업데이트 2018-10-04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작가 현효제씨 후원, 액자 직접 전달

“70여년 전 젊었던 우리가 태평양을 건너 대한민국으로 갔듯 한국의 젊은이들이 직접 미국을 찾아와서 우리를 기억하고 기록해 줘서 뿌듯합니다.”
이미지 확대
미국 현지에서 촬영된 한국전쟁 참전용사 존 베이커. 한화그룹 제공
미국 현지에서 촬영된 한국전쟁 참전용사 존 베이커.
한화그룹 제공
이미지 확대
미국 현지에서 촬영된 한국전쟁 참전용사 오언 스티븐슨.  한화그룹 제공
미국 현지에서 촬영된 한국전쟁 참전용사 오언 스티븐슨.
한화그룹 제공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보훈용사촌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 70여명은 군복을 입은 자신의 모습이 담긴 사진 액자를 선물로 받았다. 사진작가 라미 현(한국명 현효제)이 지난 9월 촬영한 A3 크기의 흑백사진 속 이들 노병(老兵)은 희끗한 머리와 굵은 주름에도 늠름함을 간직하고 있었다. 짐 피셔 미국 한국전참전협회 사무총장은 이날 액자를 받아 들고 “이렇게 사진으로 기록되니 우리가 영웅이 된 듯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현 작가는 ‘군인 사진’으로 유명하다. 군인의 자부심을 기록하기 위해 2013년부터 한국군 장병들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온 그는 2016년부터 외국의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을 직접 찾아가 이들의 군복 입은 모습을 사진으로 찍고 액자로 제작해 선물해 왔다. 미국 참전용사협회는 현 작가의 이 같은 진정성을 인정해 지난 8월 공식 촬영 허가권을 승인해 줬다.

세계 각지로 향하는 경비를 대부분 자비로 해결해 온 현 작가는 최근 한화그룹의 후원을 받게 됐다. 현 작가는 한화와 손잡고 ‘리멤버 180’이라는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있다. 180만여명에 달하는 미국의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기억하고, 대한민국이 전쟁의 폐허를 극복하고 180도 달라진 선진 국가가 됐다는 의미의 이름이다. 현 작가는 지난달 뉴욕과 워싱턴에서 참전용사들의 사진을 촬영하고, 한국에서 액자로 제작했다. 한화 직원들은 액자 하나하나에 감사인사를 기록했다. 이 액자는 3~4일 이틀간 뉴욕과 워싱턴에서 참전용사들에게 전달됐다. 현 작가는 “기록이 모여 역사가 되고 역사가 곧 국가의 자부심이 된다”면서 “더 늦기 전에 참전용사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해드리고 기록으로 남기고 싶다”고 말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8-10-0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