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개방으로 성장 본격화 땐 주택건설 투자 최대 134조”

“北개방으로 성장 본격화 땐 주택건설 투자 최대 134조”

입력 2018-10-09 22:44
업데이트 2018-10-10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은 BOK경제연구 전망

북한이 대외 개방으로 경제성장이 본격화되면 주택건설 투자액이 최대 13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이주영 연구위원이 9일 발표한 BOK경제연구 ‘북한 지역 장기주택수요 및 연관 주택건설투자 추정’에 따르면 북한이 대외 개방을 하고 고성장을 하면 2021∼2030년 북한 주택건설 투자 금액은 최대 134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북한은 2011∼2020년 주택건설투자 규모가 9603만㎡, 65조원에서 다음 10년간은 7425만㎡, 57조원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왔다. 인구 기반 총 주택수요 연평균 증가율이 2011∼2020년 0.6%에서 2021∼2030년 0.3%로 낮아진다는 분석에 기반해서다.

그러나 북한이 대외 개방을 하면 주택수요 증가율이 0.9(저성장)∼2.1%(고성장)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저성장 시나리오에 따르면 주택건설투자규모와 금액은 1억 2474만㎡, 85조원으로 늘어난다. 고성장 시나리오는 1억 9668만㎡, 134조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대외 개방으로 북한의 사망률이 하락하는 것을 전제로 했다. 이에 더해 저성장 시나리오에서는 대외 개방이 활발한 북·중 접경지대 개인 주택수요 증가율(2007년 대비 2017년 연평균 0.4%)이 북한 전역으로 확대된다고 봤다. 고성장 시나리오에서는 한국의 고도성장기(1980∼1990년) 연평균 개인거주면적 증가율(1.6%)을 적용했다.

이번 보고서는 북한이탈주민 470가구(2007년 기준) 대상의 가구조사 기초통계가 활용됐다. 이 연구위원은 “북한의 인구 기반 주택 수요는 둔화하는 추세이지만 대외 개방과 경제성장이 본격화되면 사망률 하락과 개인 생활 수준 향상으로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 예상보다 많은 주택건설 투자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8-10-10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