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명 중 1명만 “기혼 자녀와 함께 산다”

노인 10명 중 1명만 “기혼 자녀와 함께 산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10-28 22:44
업데이트 2018-10-29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건사회硏 ‘작년 노인의 삶’ 조사

노인부부 48%·독거노인 비율 23%
81% “자녀들과 주 1회 이상 연락”
“본인 스스로·국가도움 생활” 82%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만 결혼한 자녀와 함께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받는 대신 스스로 벌어서 생계를 꾸리는 노인이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보건복지포럼 10월호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를 통해 본 노인의 삶’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해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비율은 23.7%에 그쳤다. 특히 기혼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비율은 10.2%에 불과했다. 정경희 부원장은 “미혼 자녀는 결혼이나 취업 뒤 독립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가족 형태로 사는 노인은 10명 중 1명 정도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1994년에는 자녀와 노인이 함께 사는 비율이 54.7%로 가장 보편적인 노인 가구 모습이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노인부부’ 비율이 48.4%로 가장 높았고 ‘독거노인’도 23.6%나 됐다. 다만 노인과 자녀의 정서적 교감은 이어지고 있었다. 노인의 38.0%가 주 1회 이상 자녀와 왕래하고, 81.0%는 주 1회 이상 연락을 주고받았다.

자녀의 경제적 지원을 기대하는 노인도 줄고 있다. 노인의 81.8%가 본인 스스로 또는 사회보장제도 등 국가의 도움으로 생활해야 한다고 여겼다. 자녀의 도움을 언급한 노인은 17.8%에 그쳤다. 그래서 노인 가구 소득에서 근로소득 비율은 2011년 37.9%에서 지난해 47.3%로 크게 늘었다. 황남희 연구위원은 “공적연금제도가 미성숙해 마지못해 노동시장에 오래 남아 생계비를 마련하는 노인이 많다”며 “노후소득보장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10-2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