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한국 코로나 지속 땐 취업자 36만명 감소”

ADB “한국 코로나 지속 땐 취업자 36만명 감소”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20-03-08 23:12
업데이트 2020-03-09 03: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성장률도 최대 1%P 하락 전망

운수업 최대타격… 호텔·서비스업順
KDI “수출·내수 모두 빠르게 위축”
이미지 확대
코로나19가 3개월 이상 계속되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최대 1% 포인트 하락하고 취업자 수가 36만명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 전반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다.

8일 아시아개발은행(ADB)이 내놓은 ‘코로나19 경제적 영향 평가’에 따르면 최악의 경우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165억 3100만 달러(약 19조 7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18년 기준 한국 GDP의 1.02%다. ADB가 설정한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국 여행 금지와 내수 감소가 6개월간, 한국의 코로나19 발병이 3개월간 지속되는 경우를 가정했다.

업종별로는 운수업 생산증가율이 최대 2.41% 포인트(13억 2241만 달러) 하락해 타격이 가장 크고 호텔·레스토랑·개인서비스 등은 2.13% 포인트(26억 6120만 달러)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ADB는 급격한 경기 위축으로 취업자도 35만 7000명(1.19%)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ADB뿐 아니라 세계 주요 투자은행과 경제기관들도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하향 조정하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올해 한국 성장률을 0.2~1.4%, 신용평가사인 S&P는 1.1%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KDI도 코로나19 사태로 경기가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KDI는 이날 발간한 ‘KDI 경제동향 3월호’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화한 2월에는 수출이 중국을 중심으로 부진했으며 내수도 경제심리 악화로 위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는 지난 1월 ‘경기 부진이 완화되고 있다’는 평가와는 반대되는 것이다.

실제 코로나19가 본격 확산한 2월 한국은행의 제조업 계절조정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전월 78에서 67로, 전산업 BSI는 75에서 65로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다. 또 중국 제조업이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으면서 지난달 수출도 일평균 기준 전년 동월 대비 11.7% 감소했다.

여기에 내수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2월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 104.2에서 96.9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KDI는 소비 활동이 코로나19 확산으로 빠르게 위축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성태 KDI 경제전망실장은 “구체적인 경기 위축 여파는 통계청의 2월 산업활동동향에서 나타날 것”이라면서 “코로나19 진행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20-03-0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