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더 악화… 비율 50% 넘은 건 7년만
지출 3.6% 줄였지만 근로소득 10% 급감
코로나 타격에 영세자영업 소득도 8%↓
22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 중 1분위 적자 가구 비율은 50.9%를 기록했다. 소득 하위 20% 가구의 절반 이상이 매달 적자를 내고 있는 셈이다.
적자 가구는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 지출)보다 소비 지출이 큰 가구로, 번 돈 이상을 쓴 사람들을 의미한다. 이 가구들은 버는 돈이 적어 필수 지출만 해도 적자를 보는 구조인데, 코로나19로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 3분기 1분위 가구 소득은 매달 163만 7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줄었다. 근로소득은 55만 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7%나 급감했고 사업소득도 27만 6000원으로 8.1% 감소했다. 정부의 공적 지원금(월 59만 5000원)이 투입됐지만 소득 감소 폭이 너무 커 소득 감소 흐름을 돌려놓지 못했다. 통계청은 “8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2차 확산으로 내수 소비가 위축된 데다 긴 장마와 집중 호우로 일거리마저 줄어 소득의 65%를 차지하는 근로소득과 19%를 차지하는 사업소득이 각각 10% 안팎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 가구들은 지출을 1년 전보다 3.6%나 줄였지만 적자를 면치 못했다. 지출 규모가 매달 188만 1000원으로 소득 규모(163만 7000원)를 웃돌았기 때문이다. 평균 적자는 매달 24만 4000원으로, 분기 기준 73만 2000원의 적자가 쌓였다.
1분위 적자 가구 비율이 50%를 넘은 건 3분기 기준으로 2013년 이후 7년 만이다. 5분위(소득 상위 20%) 적자 가구 비율(7.0%)보다 7배 이상 높다. 적자 가구 비율은 소득 분위가 올라갈수록 줄어드는 구조다. 2분위는 23.9%, 3분위 14.8%, 4분위 10.6%다. 가구 전체로 보면 21.4%가 적자 가구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11-23 2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