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비스업 매출 증가 6년만에 최저…소비심리 위축 영향

지난해 서비스업 매출 증가 6년만에 최저…소비심리 위축 영향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0-12-22 15:55
업데이트 2020-12-22 15: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출 2.2% 증가에 그쳐 2013년 이래 가장 낮아
사업체 수, 종사자 수도 최근 10년 평균 밑돌아
도소매업 부진 영향, 유가하락 등 작용

지난해 서비스업 매출 증가율이 6년 만에 가장 낮았다. 서비스업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증가 폭도 최근 10년 평균에 비해 더뎠다. 유가 하락과 소비심리 위축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22일 통계청의 ‘2019년 서비스업 조사 결과(잠정)’를 보면, 지난해 서비스업 매출액은 2188조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3년(0.8%) 이래 6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이며, 2009~19년 최근 10년간 연평균 매출 증가율(7.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서비스업 사업체 수는 297만 7000개로 전년 대비 1.9%(5만 5000개) 증가했다. 최근 10년간 사업체 수 연평균 증가율(2.4%)을 밑도는 수준이다.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1253만명으로 전년 대비 2.8% 늘면서 역시 최근 10년 연평균 증가율(3.6%)에 못 미쳤다.

이진석 통계청 산업통계과장은 “서비스업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도소매업에서 매출 타격이 있었다”며 “특히 도매업의 경우 지난해 유가 하락으로 가스·휘발유 등 연료 도매업 매출이 줄면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전반적으로 매출 증가세가 둔화한 영향도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도소매업 사업체 수는 102만 8000개로 전체의 34.5%에 달한다.

서비스업 사업체당 매출을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5.2%)와 교육(3.5%) 등은 증가 폭이 컸다. 반면 부동산(-3.5%)과 수도·하수·폐기(-1.0%)는 뒷걸음질쳤고, 도소매(0.3%)는 거의 제자리걸음이었다. 업종별 사업체 수는 숙박·음식점업이 전년보다 1만 9349개 증가하면서 가장 많이 늘었다. 지난해 새로 생긴 서비스업 사업체 10곳 중 3곳(35%)은 숙박·음식점업체였던 셈이다. 부동산 업체도 8412개 늘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