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값·고깃값·기름값 ‘고공행진’… 1월 소비자물가 3.6% 상승

밥값·고깃값·기름값 ‘고공행진’… 1월 소비자물가 3.6% 상승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2-02-04 10:01
업데이트 2022-02-04 19: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1월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 연속 3%대
기름·밥값에 농축수산물 모두 올라

이미지 확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여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97(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 상승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류가 크게 올랐고 달걀·돼지고기 등 축산물도 상승했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가 표시돼 있다. 2021.11.2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여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97(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2% 상승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류가 크게 올랐고 달걀·돼지고기 등 축산물도 상승했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가 표시돼 있다. 2021.11.2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1월 소비자물가가 3.6% 상승했다. 지난해 10월 3.2%를 기록한 이후 4개월 연속 3%대 ‘고공행진’을 이었다. 외식비·기름값뿐만 아니라 농축수산물, 공공요금, 전셋값까지 덩달아 치솟은 결과다.

4일 통계청의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69(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3.2%)에 9년 8개월 만에 3%대로 올라선 뒤 11월(3.8%), 12월(3.7%)에 이어 지난달까지 4개월째 3%대를 기록했다. 물가가 넉 달 연속 3%대 상승률을 보인 것은 2010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3%대 이상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10년 만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공업제품과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름세를 지속한 가운데 외식을 중심으로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물가가 3.6% 올랐다”면서 “다만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해 상승폭은 전월보다 0.1%포인트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공업제품은 4.2% 올랐다. 특히 석유류가 16.4% 올라 기여도 0.66%포인트로 1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휘발유(12.8%), 경유(16.5%), 자동차용 LPG(34.5%)가 모두 상승했다.

빵(7.5%) 등 가공식품도 4.2% 올랐다. 농축수산물은 6.3% 올랐다. 특히 돼지고기 10.9%, 수입 쇠고기 24.1%, 국산쇠고기 6.9%, 달걀 15.9% 등 축산물이 11.5% 상승했다. 딸기 45.1% 등 농산물도 4.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까지 1%대 상승률로 비교적 안정적이었던 전기·가스·수도는 2.9% 올라 2017년 9월 7.9%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전기료는 5.0% 오르며 2017년 9월 8.8% 이후 최대치로 상승했다. 상수도료 인상률도 4.3%로 2008년 5월 4.4%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어 심의관은 “지난해 7월 전기요금 필수 할인공제가 축소되고 작년 10월 연료비 조정단가가 인상된 영향이 지속되면서 전기요금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외식비는 5.5% 상승했다. 1월 물가를 밀어올리는 데 0.69%포인트 기여했다. 기여도는 석유류보다 더 컸다. 외식 품목 중에는 생선회(9.4%)와 쇠고기(8.0%)가 많이 올랐다.

보험서비스료 13.4%, 공동주택관리비 4.3% 등 외식 외 개인서비스도 2.8% 올라 개인서비스는 3.9% 상승률을 기록했다. 집세는 2.1% 올랐다. 특히 전세 상승률이 2.9%로 2017년 8월 2.9% 이후 가장 컸다. 월세는 1.1%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0% 올랐다. 근원물가가 3%대로 올라선 것은 2012년 1월 3.1% 이후 10년 만이다. 체감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4.1% 올랐다.

어 심의관은 “물가 상승 폭이 높은 데는 수요 측 상승 요인도 있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이나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대외 공급 측면 상승 요인도 컸다”면서 “당분간 상당폭의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