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號 통합 4주년 성과

이석채號 통합 4주년 성과

입력 2013-06-12 00:00
업데이트 2013-06-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감한 ‘脫통신’… 비통신 매출 6.2배 성장, 유·무선 통신기업서 미디어 기업으로 진화

“우리는 지금 컨버전스라는 새로운 무대를 만들어야 한다. 거기선 우리도 예상하지 못한 수많은 주체들이 활약하고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부활시킬 것이다. 그 속에서 KT도 성장할 것이다.”

2009년 1월 이석채 회장의 KT호가 출항하던 날 이 회장은 한국의 ICT 산업과 KT의 미래에 대해 이렇게 갈파했다. 그 후 4년, KT는 유선통신업체에서 유·무선을 아우르는 통신기업으로, 지금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기업으로 진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T와 KTF의 합병은 KT의 체질 개선을 요구했던 이 회장이 KT에서 맺은 첫 성과였다. 과거 공기업 분위기에 젖어 유선통신에 안주하고 있다가는 회사가 망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그는 취임 직후부터 이를 추진했다. 5개월 뒤인 6월 1일 합병을 이끌어 냈다. 11일 열린 ‘통합KT’ 출범 4주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이 회장은 “다양한 서비스가 만들어지고 그런 것들이 우리 네트워크에서 거래·소비되도록 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서 “전통적 통신에 머물렀다면 KT는 1조원 적자 기업으로 전락해 지금쯤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갔을 것”이라고 당시를 회상하기도 했다.

KT는 유·무선 융합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체를 합병하는 방식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영역 간 상승 효과를 이끌어 냈다. 2010년 4월에는 금호렌터카(KT렌탈), 2011년 1월에는 위성방송업체인 스카이라이프, 그해 11월에는 BC카드를 차례로 인수했다. 이미 스카이라이프는 KT가 인터넷TV(IPTV)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에 오르는 데 기여했다. BC카드와 KT렌탈은 KT가 미래 먹거리 중 하나로 고민하는 ‘빅데이터’ 관련 사업의 원재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KT의 과감한 인수 합병은 이 회장이 강조하는 ‘탈(脫)통신’ 기조에도 부합한다. 현재 KT 계열사 35곳 중 비(非)통신 분야 업체는 29곳으로 통신 분야를 추월한 지 오래다. 이런 변화는 수치로도 증명된다. 2008년 총 20조 7000억원이던 KT의 총매출은 지난해 28조 3000억원으로 1.4배 커졌다. 내역별로 보면 비통신 그룹사 매출이 1조 1000억원에서 6조 8000억원으로 6.2배 성장해 그룹 전체 매출 신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회장이 강조해 온 ‘가상 재화’와 관련된 미디어·콘텐츠 매출 역시 2600억원에서 1조 2500억원으로 4.8배 성장했다.

통합KT의 출범은 한국 ICT 산업의 혁신을 가져왔다는 의미도 있다. 통합 KT는 지난 4년간 각종 혁신을 통해 국내 ICT 시장에 새바람을 일으켰다. 2009년에는 국내에 아이폰을 처음 도입해 스마트폰 혁명을 선도했으며 무선데이터 요금을 88%까지 인하하는 결단을 통해 무선데이터 기술과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또 최근에는 아프리카, 중남미 등 해외 시장의 문을 두드리며 국내 통신사업의 해외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6-12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