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가입시 피해多…이통사 피해예방 나서야”

“이동통신 가입시 피해多…이통사 피해예방 나서야”

입력 2013-10-14 00:00
업데이트 2013-10-14 08: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가 이동통신 서비스 시 입는 피해가 이용할 때만큼 많아 이동통신사가 피해 예방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소비자원이 14일 발표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단계의 소비자 문제 및 개선 방안’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접수된 이동통신 서비스 피해 건수는 모두 1천611건으로 2010년 418건, 2011년 493건, 2012년 700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이를 유통 단계별로 살펴보면 서비스 이용 단계(49.9%)에서 소비자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대리점이나 판매점에서 가입하는 단계(41.7%)에서 일어나는 피해도 이에 못지않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 탈퇴나 철회 등 사후 단계(8.4%)에서의 소비자 피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가입 단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피해는 단말기 보조금 약정 불이행(40.3%)이었다.

이어 약정한 요금과 실제가 상이(23.8%), 명의 도용(19.6%), 임의 가입(7.0%) 등이 뒤따랐다.

피해 유형별로는 요금 관련 피해(25.8%)가 가장 많았고 통화 품질 불량(15.6%), 대리점이나 이동통신 회사의 업무처리 불만(13.0%), 대리점과 판매점의 단말기 보조금 지원 약속 불이행(11.9%), 명의 도용 등 부당 가입(5.8%) 등의 순이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이동통신 서비스사가 직접 운영하지 않지만 위탁 영업하는 대리점의 피해유발 건수가 본사보다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본사가 대리점과 판매점의 피해 발생 방지 및 예방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