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30% 수수료에… 토종 ‘원스토어’ 급부상

구글 30% 수수료에… 토종 ‘원스토어’ 급부상

한재희 기자
입력 2020-10-05 20:54
업데이트 2020-10-06 06: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앱장터 통행세 강행 이후 입점 문의 쇄도
“이번 기회 점유율 20%” 내년 IPO 청신호

미국 캘리포니아 구글 사옥 전경. 캘리포니아 AP 연합뉴스
미국 캘리포니아 구글 사옥 전경. 캘리포니아 AP 연합뉴스
구글이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물리는 자사의 인앱결제 방식을 강행하면서 토종 앱장터인 ‘원스토어’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원스토어에는 입점을 위한 국내 개발사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스토어 관계자는 “구글이 수수료 30% 정책을 발표한 직후 크고 작은 정보기술(IT) 업체들로부터 전화·메일 연락이 급증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구글이 앞으로 구글플레이의 애플리케이션(앱) 내부에서 결제할 때 각 사의 자체 시스템이 아닌 반드시 구글의 방식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리자 벌써부터 업계가 들썩이고 있는 것이다.

원스토어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의 앱장터와 네이버 앱스토어를 통합해 2016년 출범했다. 구글이나 애플의 앱장터 수수료는 매출의 30%인 반면 원스토어는 5~20%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특징을 지녔지만 경쟁사에 밀려 국내 점유율은 11.2%에 그쳤다.

더군다나 원스토어는 최근 주관사 선정을 마치며 내년에는 기업공개(IPO)에 나설 것을 예고했다. 당초 업계에서는 원스토어의 기업가치를 1조원가량으로 봤는데 만약 이번 기회에 점유율을 20%대로 끌어올린다면 몸값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

업계 관계자는 “여태까지는 원스토어에도 동시에 입점하면 구글로부터 알게 모르게 보복을 받을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개발사들에 퍼져 있었다”면서 “원스토어가 이번 반사이익을 얼마나 가져가느냐가 앞으로 시장판도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10-06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