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명이 한우물만 판다 슈퍼그린카 ‘K’를 위하여

600명이 한우물만 판다 슈퍼그린카 ‘K’를 위하여

입력 2013-08-13 00:00
업데이트 2013-08-13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기아車 친환경 산실, 경기 남양연구소를 가다

시작은 1995년이었다. 현대·기아자동차가 친환경차 개발의 시동을 걸었던 게 말이다.

친환경차에 대한 연구·개발(R&D) 확대에 따라 작년 8월 건립된 현대·기아자동차 남양연구소의 환경차개발시험 2동의 한 실험실 모습. 상품성이 개선된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개발을 위한 모든 연구와 실험이 이곳에서 이뤄진다. 현대·기아차 제공
친환경차에 대한 연구·개발(R&D) 확대에 따라 작년 8월 건립된 현대·기아자동차 남양연구소의 환경차개발시험 2동의 한 실험실 모습. 상품성이 개선된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개발을 위한 모든 연구와 실험이 이곳에서 이뤄진다.
현대·기아차 제공
지난 9일 찾아간 현대·기아자동차 남양연구소(경기도 화성)의 친환경차 연구동. 제1개발시험동 로비에 마련된 전시관 유리벽의 첫 줄에는 ‘하이브리드:1995년 FGV-1(콘셉트카)’가 새겨져 있다. 토요타가 1977년 도쿄 모터쇼를 통해 콘셉트카를 처음 소개한 이후 1997년 내놓은 세계 최초 양산 하이브리드 승용차 ‘프리우스’가 세상을 놀라게 하고 있을 때 막 걸음마를 시작한 셈이다.

현대·기아차가 번듯한 하이브리드를 세상에 내놓은 건 이보다 한참 늦은 2009년. 아반떼·포르테 모델로 첫 하이브리드차량 양산 체제를 갖췄고 2년 만인 2011년 쏘나타·K5 하이브리드를 북미시장에도 내놓으며 자신감을 쌓았다.

이제 토요타의 프리우스를 추월할 꿈을 꾸며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정몽구 회장은 특히 올 초부터 하이브리드차량 개발에 대해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주마가편의 흔적은 일단 시설에서 나타난다. 전시관이 있는 제1연구동은 올 3월 새 단장을 거쳐 1만 3884㎡(4200평) 규모로 몸집을 키웠다. 마주보고 있는 제2연구동은 앞서 작년 8월 새로 올렸다. 5950㎡(1800평) 규모의 3층짜리 건물은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시험을 위한 실험실로만 채워져 있다. 심현성 환경차성능개발실장은 “오롯이 하이브리드·전기차 개발에만 매달린 연구원이 600명”이라며 “최근 3년간 인력이 두 배 늘었다”고 말했다.

자동차 산업의 물줄기는 친환경으로 흘러가는 추세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는 전년 대비 79% 성장해 사상 처음 100만대를 돌파, 대중화 단계에 들어섰다. 올해는 160만대 판매가 예상된다.

특히 하이브리드차는 친환경차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대세로 자리 잡았다. 현재 현대·기아차의 하이브리드 모델은 4종으로, 쏘나타, K5, 아반떼, 포르테가 있다. 쏘나타와 K5 하이브리드의 성공을 발판으로 K7과 그랜저 하이브리드 모델을 차례로 내놓을 예정이다.

하이브리드 시장의 대형화, 고급화 추세에 맞춰 차급을 키웠다. 고학력, 중산층 이상의 소비자들 사이에서 하이브리드차를 모는 것은 지구와 자연을 지키는 의식있는 행위로 인식되고 있다. 이 같은 트렌드로 글로벌 하이브리드 시장에서 중대형 비중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대형차의 비중은 2011년 2.2%에서 2012년 7.1%로 증가했으며, 중형은 11.3%에서 14.8%로 늘어났다. 반면 소형은 2011년 29.1%에서 2012년 26.8%로 줄어들었다.

일단 내수용으로만 판매될 K7 하이브리드에는 ‘6속 자동변속기’ 등 쏘나타 하이브리드에 적용된 모든 기술이 담긴다. 박재홍 하이브리드성능개발팀 파트장은 “일본 업체는 주로 무단변속기를 사용해 주행감이 밋밋한 면이 있다”며 “6속 자동변속기가 적용된 K7은 하이브리드의 특징인 고연비와 더불어 운전의 즐거움도 한층 높여줄 것”이라고 자신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3-08-13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