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CJ 때처럼… 롯데도 내수시장 뺏기나

3년 전 CJ 때처럼… 롯데도 내수시장 뺏기나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6-06-19 21:58
업데이트 2016-06-19 2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檢조사 후 뚜레쥬르, 파리바게뜨와 격차…제과·유통 등 롯데 점유율 하락 불가피

‘라이벌’ 신세계, 김해 복합쇼핑몰 잰걸음

검찰의 전방위 수사로 롯데그룹의 성장은 멈췄지만 경쟁사들의 걸음은 빨라지고 있다. 롯데그룹에 대한 고객의 충성도도 떨어지고 있다. 검찰 조사 결과와 상관없이 롯데의 국내 시장점유율 하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신세계는 경남 김해 여객터미널 근처에 백화점과 할인점 등의 복합쇼핑몰을 오는 23일 연다고 19일 밝혔다. 서울 강남 백화점을 리모델링해 서울 최대 백화점으로 바꾼 데 이어 백화점의 영업력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

롯데월드타워 내 면세점은 오는 26일이면 사실상 문을 닫는다. 공식 영업 종료는 30일이지만 일반 고객 대상 판매는 26일이 마지막이다. 한때 재승인을 받아 면세점을 다시 열 수 있을 거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지만 롯데에 대한 검찰 수사로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롯데칠성음료의 시장점유률 하락도 예상된다. 한 금융회사 임원은 “즐겨 먹던 소주랑 맥주가 롯데에서 만든 거라는 사실을 알고 브랜드를 바꿨다”고 말했다. 롯데그룹은 맥주시장 진출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롯데푸드, 롯데제과 등 내수 업종의 고객 이탈도 예상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국내에서 번 돈을 일본으로 보낸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롯데의 위기는 2013년 CJ그룹 수사 때와 닮았다. 당시 CJ그룹의 비자금 수사가 진행되면서 프랜차이즈 빵집인 뚜레쥬르의 가맹점은 2012년 1260개에서 그해 1238개로 줄었다. 2014년 1245개로 소폭 늘어났지만 2012년 수준에 못 미치고 있다. 경쟁사인 SPC의 파리바게뜨는 3175개에서 3220개, 3254개로 가맹점이 늘어났다. 뚜레쥬르는 국내보다는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에서 우위를 다지고 있다. 국내 스캔들과 무관한 곳이다.

롯데그룹은 수출보다는 내수에 기반해 성장했다. 따라서 수출과 달리 소비자 입장에서는 언제든 대체할 기업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내수를 토대로 성장한 기업이기 때문에 검찰 입장에서는 경제가 안 좋은데 수사한다는 부담감이 적을 것”이라며 “소비자를 어떻게 잡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6-20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