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지급유예 선언에 판교 부동산시장 ‘긴장’

성남시 지급유예 선언에 판교 부동산시장 ‘긴장’

입력 2010-07-15 00:00
업데이트 2010-07-15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리 인상 이은 악재 2연타..인프라 구축 지연 우려 팽배

성남시의 부채 지급유예 선언 이후 판교 부동산 시장에 불안감이 감돌고 있다.

 최근 기준금리 전격 인상에 연이어 터진 악재에 집주인들은 가격 하락을 우려하며 노심초사하고 있고,매수 예정자들은 이후 상황을 지켜보고자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거래가 뚝 끊긴 상황이다.

 판교는 뛰어난 강남 접근성을 무기로,다른 신도시 부동산들이 고전을 면치 못했던 지난해와 올해 홀로 상승세를 누렸다.

 1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올해 상반기 수도권 신도시 전체에서 아파트값이 평균 2.31% 하락하는 동안 판교는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1.22% 올랐다.

 전셋값은 강남권의 전세난에 반사특수를 누리며 6개월 만에 무려 25.84%나 상승했다.

 이에 대해 부동산 업계는 그동안 도시 인프라 부족과 경기침체 속에 저평가됐던 판교 부동산이 제값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봤다.

 동판교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대표는 “분양 당시만 해도 ‘로또 판교’란 말이 나올 정도로 투자자들이 엄청난 기대를 품었던 것에 비하면 시세가 좋지 않았다”며 “입주가 본격화되면서 주거환경이 좋아져 제값을 찾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곳에 위치한 백현마을9단지 126㎡형은 올 초만 해도 8억9천만원에 거래됐으나,최근에는 10% 가까이 오른 9억7천500만원에 팔리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9일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12일 성남시 측의 부채지급 유예 선언이 이 같은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으리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번 사태로 판교의 가장 큰 약점으로 꼽히는 도시기반시설 구축이 더뎌지리란 우려가 그 원인이다.

 지급유예를 선언한 판교특별회계 5천200억원이 판교신도시 조성을 하면서 도시기반시설을 만들기 위한 돈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중심가에 들어서기로 돼 있던 5조원 규모의 복합상업시설인 ‘알파돔’이 개발사의 토지 중도금 미납으로 사업 위기설이 나돌면서 이러한 우려는 더욱 증폭되고 있다.

 현지에서는 불안한 눈으로 사태를 관망하고 있지만,아직까지 적극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동판교의 삼평동 A공인중개사 대표는 “집주인들이 불안한지 어제오늘 문의 전화가 부쩍 늘었다”며 “호가를 낮춘 매물도 몇 건 나오긴 했지만,적극적으로 팔거나 사려고 하는 세력이 없어 거래가 끊겼다”라고 말했다.

 실제 총 2만5천여가구가 들어서는 판교에서 현 시점에서 전매제한을 받지 않고 거래를 할 수 있는 가구는 4천600여 곳에 그친다.아직 거래가 본격화되지 않아 시세 측정도 어려운 상태에서 가격조정을 논하는 것은 시기 상조라는 분석도 있다.

 부동산114 김규정 본부장은 “아직까지는 처분하고 나갈 수 있는 물량이 많지 않아 불안감이 있어도 담담히 지켜보는 형국”이라면서도 “모라토리엄 사태가 길어지면 수요가 끊어지면서 가격 조정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