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작년 56%가 60㎡이하 선택

전·월세 작년 56%가 60㎡이하 선택

입력 2012-02-02 00:00
업데이트 2012-02-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 132만건 중 73만건 차지

지난해 이사한 전·월세 주택 세입자의 절반 이상은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주택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거래정보시스템에 등록된 전·월세 주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고 1일 밝혔다.

분석 결과 지난해 거래된(확정일자 건수 기준) 전·월세 주택은 총 132만 1242건으로, 이 중 전용 60㎡ 이하 소형주택이 전체의 55.9%인 73만 8603건이었다. 전용 60~85㎡는 37만 7578건으로 28.6%, 85~135㎡는 15만 2366건(11.5%)이었다. 전용 135㎡ 초과는 5만 2695건(4%)에 달했다.

전용 60㎡ 이하 중에서는 40~60㎡가 가장 많은 43만 202건으로 32.6%를 차지했고, 40㎡ 이하가 30만 8401건으로 23.3%였다.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거래량이 65만 1773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다가구주택으로 22만 4983건이었다. 이어 다세대주택은 15만 6589건, 단독주택 15만 551건, 연립주택 3만 5673건이 거래됐다. 기타는 10만 1713건이었다.

지난 한 해 전국에서 거래된 전·월세 주택의 평균 전셋값은 3.3㎡당 561만원이었다. 아파트가 3.3㎡당 624만원, 아파트 이외 주택은 500만원으로 아파트 전세를 구하는 데 3.3㎡당 124만원이 더 들었다.

서울 주택의 평균 전셋값은 3.3㎡당 811만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3.3㎡당 250만원 높았다. 이 가운데 전국에서 전셋값이 가장 비싼 강남 3개구(강남·서초·송파구)는 평균 전셋값이 3.3㎡당 1119만원으로 서울시 평균보다 3.3㎡당 308만원가량 비쌌다.

아파트만 보면 강남 3구는 3.3㎡당 평균 전셋값이 1332만원으로 서울시 아파트 평균보다 333만원 높았다. 아파트 이외 주택은 3.3㎡당 855만원 선으로 조사됐다. 전국에서 전셋값이 가장 낮은 곳은 강원도로 3.3㎡당 평균 274만원이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2012-02-02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