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은 어쩌라고”…서울 1억원 미만 전세 급감

“서민은 어쩌라고”…서울 1억원 미만 전세 급감

입력 2013-08-13 00:00
업데이트 2013-08-13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산써브 조사, 2008년의 ⅓ 수준…광진·성동·서초구는 자취 감춰

전셋값 급등 속에 서민이 주로 찾는 서울의 1억원 미만 아파트 전세가 5년 전과 비교하면 3분의 1로 급감했다.

부동산써브는 8월 첫 주 시세를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총 118만4천606가구를 상대로 전세가를 조사한 결과 1억원 미만 가구수는 4만3천3가구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2008년 13만1천434가구에 견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2년 전 6만2천318가구였던 1억원 미만 전세는 작년엔 4만3천832가구로 해마다 줄고 있다.

특히 올해는 광진구, 성동구, 서초구의 경우 전세가 1억원 미만의 아파트가 아예 자취를 감춘 것으로 드러났다.

광진구와 성동구는 대학이 밀집한데다 도심과 강남권으로 이동이 편리해 학생과 직장인의 수요가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초구 역시 소형 아파트 전세가가 오르며 1억원 미만 아파트가 사라졌다.

5년간 1억원 미만 전세 아파트의 감소세가 가장 가파른 곳은 노원구로 2008년 4만1천409가구에서 올해 1만3천139가구(2만8천270가구 감소)로 급감했다.

이어 도봉구는 1만7천349가구에서 5천84가구(1만2천265가구 감소), 강서구는 1만1천164가구에서 1천250가구(9천914가구 감소), 송파구는 9천151가구에서 544가구(8천607가구 감소)로 쪼그라들었다.

재건축 아파트에만 남아있는 강남구와 강동구의 1억원 미만 전세는 각각 6천889가구, 3천276가구로 집계됐다.

부동산써브 김미선 선임연구원은 “앞으로도 전세 선호 현성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1억원 미만의 저렴한 전세물건은 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