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숨만 쉬고 벌어야 ‘서울아파트 전셋값’

5년 숨만 쉬고 벌어야 ‘서울아파트 전셋값’

입력 2013-09-03 00:00
업데이트 2013-09-03 08: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이 도시 근로자 5년치의 소득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99∼132㎡(30평형대) 크기 아파트만 봐도 전셋값이 도시 근로자 소득의 4년치에 육박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숨만 나오는 전셋값
한숨만 나오는 전셋값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이 치솟는 가운데 18일 서울의 한 아파트단지 상가 내 부동산 중개업소 앞에 시세표가 내걸려 있다. 올해 들어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지난 16일까지 4.81%로 지난해 연간 상승률(2.36%)의 두 배를 넘어섰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는 5년 전에 견줘 도시근로자가 번 돈을 한 푼도 안 쓰면서 모을 때 이 크기의 수도권 아파트 전세 보증금 마련에 걸리는 기간이 평균 10개월 정도 더 걸리는 셈이다.

부동산114는 지난 6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 699만여 가구의 전세가와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연소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세가격 상승에 따른 부담이 이미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닫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수도권 99∼132㎡ 크기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연말 기준)는 2008년 1억 4675만원으로, 같은 해 2인 이상 도시근로자 가구 연평균 소득(4681만원)의 3.14배였다.

그러나 올해 6월말 전세가는 2억 1650만원으로, 직전 1년간 소득(5500만원)의 3.94배로 높아졌다.

소득 대비 수도권 99∼132㎡ 크기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컸던 2008년 3.14배를 저점으로 2009년 3.57배, 2010년 3.75배를 거쳐 2011년에는 3.99배에 달하면서 부동산 114가 시세 자료를 보유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쳤다.

작년에는 소득 상승폭에 비해 전세가 오름폭은 비교적 작은 덕분에 이 배율이 3.86배로 낮아졌으나 올해 다시 전세시장이 꿈틀거리면서 지난 상반기에 벌써 역대 최고치에 근접한 것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하반기 두 달 사이에만 서울의 전세가격이 2%가량 올랐다”면서 “가을철 전세난이 심화되면 연말에는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울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6월 말 현재 도시근로자 소득 대비 전국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 배율은 3.02배이고 수도권은 3.70배였다.

주요 시도별로는 서울 5.22배, 경기도 3.09배, 부산 2.80배 등이다.

서울시내 주요 구별로는 서초 9.02배, 강남 8.31배, 용산 7.24배, 송파 7.17배 등 순으로 높았다. 그나마 전세가가 싼 노원(3.16배), 도봉(3.17배) 등도 3배는 넘었다.

수도권 99∼132㎡ 크기 아파트의 매매가는 2006년말 평균 3억 9698만원에서 올해 6월말 3억 6721만원으로 떨어졌고 소득 대비 배율도 같은 기간 9.61배에서 6.68배로 낮아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