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 작년의 3.6배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 작년의 3.6배

입력 2013-12-29 00:00
업데이트 2013-12-29 15: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년만에 5대광역시 상승률 웃돌아…상승률 1위 용인 수지

올해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격 상승률이 지난해의 3.6배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국민은행이 부동산정보사이트 KB부동산 알리지(R-easy·www.kbreasy.com)를 통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9.03% 올랐다.

이는 전세난이 심하던 2011년(13.91%)보다는 상승률이 낮지만 지난해 상승폭(2.49%)의 3.6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부산 등 지방 5개 광역시의 상승률(4.94%)에 비해서도 훨씬 높다.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이 지방 5개 광역시 상승률을 넘어선 것은 2009년 이후 4년 만이다.

수도권내 지역별로는 경기도(9.28%)의 상승률이 가장 높고 서울(8.97%)과 인천(8.04%)이 그 뒤를 이었다.

올해 전국의 아파트 전셋값은 7.15% 올랐다.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용인 수지구(15.96%)였고 성남 분당구(15.64%), 안양 동안구(14.07%), 부천 원미구(13.74%) 등 경기 남부 지역이 강세였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판교 디지털밸리 등 각종 산업단지 배후 주거수요가 전세시장으로 몰리고, 서울 전셋값이 올라 상대적으로 싼 지역으로 이동한 세입자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서울은 젊은 층 전세 수요가 많은 강서구(13.73%), 성동구(11.48%), 강북구(10.9%), 마포구(10.79%) 등의 전셋값이 많이 상승했다.

강남권은 강남구(9.09%)와 송파구(11.23%)의 상승률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고 서초구(7.39%)의 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다.

전국적인 오름세에도 전북 익산(-1.73%), 부산 기장(-0.99%) 등은 전셋값이 내렸다.

아파트 매매가는 수도권이 올해 1.74% 떨어져 지난해(-3.88%)보다는 하락폭이 둔화됐다.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는 0.33% 올라 지난해의 하락세(-0.18%)에서는 벗어났다.

올해 전국에서 매매가가 많이 오른 곳은 구미(14.47%) 등 주로 대구와 경북지역이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대구·경북지역은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동시에 오르고 있다”며 “장기간 공급 두절에 따른 수급 불균형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