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3구 아파트값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강남 3구 아파트값 일제히 하락세로 돌아섰다

류찬희 기자
입력 2018-10-25 23:10
업데이트 2018-10-26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초 18주·송파 15주·강남 14주 만에

9·13대책 이후 거래 줄어 상승 여력 실종
강북·분당·과천·광명도 상승률 둔화
이미지 확대
서울 강남 아파트값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한국감정원이 25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값이 일제히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강남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2% 떨어졌다. 강남구 아파트값이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14주 만이다. 지난주 0.03% 상승했던 서초구 아파트값도 0.02% 떨어지면서 18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송파구 아파트값은 0.04%나 떨어졌는데 하락세로 돌아선 것은 15주 만이다. 하지만 서울에서 아파트값이 떨어진 지역은 강남 3구에 그쳤다. 강동구는 0.05% 상승했지만, 상승률은 여전히 작아지는 추세다. 나머지 지역도 상승세를 띠었지만, 상승률은 0.05%에서 0.03%로 둔화했다.

강북 지역도 그간 상승폭 낮았던 중구·종로만 주상복합 아파트 위주로 상승폭이 확대됐고, 마포·은평·서대문·도봉·노원구 등은 상승폭이 축소됐다.

감정원은 서울 아파트값 하락 원인은 ‘9·13대책’과 ‘9·21대책’ 발표 이후 호가 하락과 거래 감소가 이어졌고, 추가 상승 여력이 사라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가격 하락은 상대적으로 값이 많이 올랐던 강남 지역부터 시작해 서울 전역으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간 강남권 아파트값 움직임은 전국 주택가격 흐름의 바로미터 역할을 했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부동산중개업자는 “은행 주택담보대출을 막아 돈줄을 죄는 수요 억제 대책의 약발이 먹혀들고 있다”며 “매물도 조금씩 쌓이고 호가도 떨어졌지만, 거래 부진이 이어져 가격 하락세는 지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수도권 주요 도시 아파트값도 상승세가 누그러졌다. 경기 성남 분당구 아파트값은 대책 발표 이후 상승률이 둔화하기 시작해 지난주에는 0.10% 오르는 데 그쳤고, 이번 주에는 상승률이 0.01%까지 작아졌다. 경기 과천, 광명시 아파트값 상승률도 눈에 띄게 작아지는 추세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8-10-26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