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출 규제에 서울 주택가격 6개월 만에 상승폭 축소

대출 규제에 서울 주택가격 6개월 만에 상승폭 축소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1-11-15 17:42
업데이트 2021-11-16 0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월 0.71%↑… 9월보다 소폭 줄어
“강력한 대출 규제… 매수심리 위축”
아파트값 오름폭도 두 달 연속 둔화
올해 누적 상승률은 작년의 2.7배

이미지 확대
국회가 양도소득세 법안 개편 논의를 시작한 15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 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국회는 이날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를 열고 양도소득세 개편을 포함한 소득세법 개정안 논의를 본격화했다. 뉴스1
국회가 양도소득세 법안 개편 논의를 시작한 15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 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국회는 이날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를 열고 양도소득세 개편을 포함한 소득세법 개정안 논의를 본격화했다.
뉴스1
서울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포함)의 지난달 매매 가격은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6개월 만에 상승 폭이 축소됐다. 특히 서울 아파트는 두 달 연속 상승 폭이 줄었지만 올해 누적 상승률은 지난해 상승률의 2배가 넘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지난달 서울 주택 가격은 0.71% 상승하면서 9월(0.72%)보다 상승 폭이 소폭 낮아졌다. 지난 4월(0.35%) 이후 커지던 오름폭이 6개월 만에 처음으로 축소됐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재건축 및 리모델링 추진 단지의 강세에 힘입어 지난달 0.83% 상승했지만 정부의 대출 규제로 상승 폭은 9월(0.90%)보다 작아졌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 8월 0.92%로 연중 최대로 상승했으나 이후 두 달 연속 상승 폭이 줄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서울 아파트 누적 상승률은 7.12%로, 지난해 상승률(2.60%)의 2.7배에 이른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은 “서울은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지역 위주로 상승했으나 대출 규제 영향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상승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서울의 단독주택도 매수심리가 위축되며 9월 0.42%에서 10월 0.38%로 오름폭이 크게 줄었다. 반면 빌라를 포함한 연립주택의 매매 가격은 0.55% 오르면서 지난 4월(0.20%) 이후 6개월 연속 상승 폭을 키워 가고 있다. 올해 누적 상승률은 3.38%로 지난해 전체 상승률(1.11%)의 3배를 넘었다.

서울 빌라 가격 상승률은 가격이 급등한 아파트 대신에 빌라라도 사 두자는 심리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4월 취임한 이후 도심 재개발에 대한 기대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빌라 거래도 활발하다. 이날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지역 다세대·연립주택 거래량은 4151건, 10월은 3516건으로 아파트(9월 2697건, 10월 1911건) 거래량을 크게 앞질렀다.

수도권의 지난달 아파트 가격은 1.43%가 올랐지만 지난 8월 1.79% 이후 9월(1.57%)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 폭을 줄였다. 올해 수도권 아파트 누적 상승률은 16.53%로 지난해(7.35%)의 2.2배에 이른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가격은 0.88% 올라 9월(0.92%)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 폭이 위축됐다. 전국 아파트의 경우 1.18%, 연립주택은 0.51%, 단독주택은 0.25%를 기록하며 각각 전월 대비 오름폭이 둔화됐다.

한편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63%로 8월(0.72%) 이후 두 달 연속 상승 폭이 줄었다. 반면 인천(1.13%)과 경기(1.16%)는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이 계속되면서 상승률이 높았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2021-11-16 2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