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稅테크용’ 연금저축 중간에 깨면 원금도 못 건져요

‘稅테크용’ 연금저축 중간에 깨면 원금도 못 건져요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6-05-15 23:08
업데이트 2016-05-16 0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액공제 금액·운용수익 대한 16.5% 기타소득세 토해내야

연금저축을 중도 해지하면 원금(납입 금액)도 다 못 건질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연금저축은 납입 금액의 400만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대신 중도 해지하게 되면 공제받은 금액과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를 물리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15일 “연금저축 가입자들이 중도 해지 때 세금 부담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특히 중도 해지 관련 약관은 금융사의 의무 설명 대상이 아니므로 가입자가 신경 써서 살펴봐야 한다”고 환기했다.

연금저축을 중도에 해지하면 납입 기간 소득·세액공제를 받은 금액과 운용 수익에 대해 16.5%의 기타소득세(지방세 포함)가 부과된다. 2013년 3월 이전에 가입한 사람은 가입 후 5년 이내 해지할 경우 해지가산세 2.2%도 붙는다.

예컨대 2012년에 연금저축을 가입해 지난해까지 매년 400만원씩 납입한 직장인 A씨는 4년간 총 1600만원의 납입금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았다. 여기에 운용 수익 100만원을 더해 1700만원이 적립금으로 쌓였다. 그런데 A씨가 5년이 안 돼 해지하면 1700만원에 대해 기타소득세율 16.5%가 적용돼 180만 5000원을 세금으로 토해내야 한다. 또 2013년 3월 이전에 가입했으므로 납입 금액에 해지가산세율(2.2%)까지 붙어 35만 2000원을 추가로 내야 한다. A씨가 찾을 수 있는 돈은 1384만원에 불과하다.

권오상 금감원 연금금융실장은 “경제 사정으로 연금 납입이 어렵다면 납입 중지나 납입 유예 제도 등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5-16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