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금리에 목 타는 은행들 핀테크로 ‘해외서 우물 파기’

초저금리에 목 타는 은행들 핀테크로 ‘해외서 우물 파기’

입력 2016-08-17 22:54
업데이트 2016-08-18 0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베트남 간편송금 서비스…KEB하나, 中서 첫 비대면 계좌

동남아 중심으로 현지화 공략
기업보다 교사·의사 등 세분화


이미지 확대
국내 은행들의 ‘해외 우물’ 파기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이자 수익이 계속 줄어드는 데다 국내 시장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지리적으로 가까우면서도 성장성이 높은 동남아를 중심으로 현지화 공략에 나서고 있다.

우리은행은 17일 국내 은행에서 처음으로 베트남에서 현지 핀테크 업체인 ‘엠서비스’와 업무협약을 맺고 간편송금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핀테크 업체의 현지 가맹점 네트워크를 활용해 모바일뱅크 ‘위비뱅크’와 ‘위비톡’을 이용한 서비스와 마케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KEB하나은행은 지난 5월 중국에서 외국계 은행 최초로 비대면 계좌 개설이 가능한 ‘원큐(1Q)뱅크’를 선보였다.

국내 은행의 해외 점포 수는 2012년 말 142개에서 지난해 167개로 늘었다. 이 가운데 베트남 19개, 중국 15개, 홍콩 11개, 인도네시아 8개 등 아시아 지역 점포 수(112개)가 전체의 67%를 차지한다. 특히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점포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좋아 공략 1순위로 꼽힌다.

우리나라 은행들은 1990년대 초반부터 해외 진출을 시작했지만 현지화에 눈을 돌린 것은 최근 일이다. 이전에는 주로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이나 교민 등 자국민 영업에 초점을 맞췄다.

금융사들은 주로 현지 합작법인을 통해 현지화를 시도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베트남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한베트남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순이익 4200만 달러를 달성하며 현지 외국계 1위 은행인 HSBC(4300만 달러)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지점 수는 전국 17개로 가장 많다.

신한은행 글로벌전략부 관계자는 “최근에는 경쟁이 치열한 기업금융보다 교사 대출, 의사 대출, 공장근로자 대출 등 개인 금융 시장을 세분화해 차별화 전략을 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2014년 말 국내 은행 최초로 인도네시아 현지 은행인 소다라은행을 인수해 우리소다라은행을 출범시켰다. 다음달 위비뱅크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우리카드와 연계한 직불 및 신용카드 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중국은 최근 성장이 둔화되면서 주춤하는 추세이지만 베트남 다음으로 가장 많이 진출해 있는 국가다. KEB하나은행은 중국 현지 31개 지점 가운데 26곳의 지점장을 현지인으로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 금융사들이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은 미미한 실정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 등으로 국내 은행들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순이익은 2012년 6억 4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5억 7000만 달러로 오히려 줄었다. 국내 은행의 전체 순이익에서 해외 점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3% 수준이다.

금융 당국 고위 관계자는 “아직까지 현지화는 걸음마 단계이지만 저금리 국면에서 앞으로 해외 진출을 확대할 수밖에 없다”면서 “국내 은행들 간의 과당 경쟁과 일본 은행과의 경쟁으로 운용 수익이 떨어지는 것 등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08-18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