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위원 ‘입’에 시선 쏠린 금융계

연준 위원 ‘입’에 시선 쏠린 금융계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6-09-05 22:54
업데이트 2016-09-06 0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금리 9월 인상설은 ‘멈칫’… 총재들은 잇따라 매파적 발언

미국 고용지표 부진으로 이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이번 주 공개석상에 서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주요 위원들이 제시할 ‘힌트’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5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연준 내 중도 성향인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방은행 총재는 6일(이하 현지시간) 하이에크 그룹 월례 만찬에 참석해 경제 전망과 통화정책에 대해 언급한다.

그는 최근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말해 9월 인상설에 불을 지폈다. 윌리엄스 총재는 올해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시장공개위원회(FOMC) 투표권이 없으나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측근으로 분류된다.

연준 내 대표적 매파(금리 인상)로 통하는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와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7일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한다. 래커 총재는 지난 2일 강연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늦출수록 경기 과열 위험이 커진다”고 말했고, 조지 총재는 지난달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이제 (금리 인상을 위해) 움직일 때가 됐다”고 말했다.

중도 비둘기파(금리 인하)로 분류되는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 총재는 9일 사우스 쇼어 상공회의소 조찬에서 발언할 예정이다. 로젠그렌 총재는 지난달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연준의 두 가지 목표가 비교적 일찍 달성될 것”이라며 “금리를 장기간 낮게 유지하는 건 위험이 있다”고 말하는 등 매파적 기조를 보였다.

안남기 국제금융센터 주식팀장은 “이번 주 발언하는 연준 총재들이 매파적 발언을 이어갈 수 있으나 이들보다는 옐런 의장과 스탠리 피셔 부의장의 생각이 더 중요하다”며 “연준 총재들도 시장에 확신을 주는 메시지를 던지진 못하고 9월 인상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수준의 발언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7일에는 미국경제동향 종합보고서인 베이지북도 공개돼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좀 더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20~21일 FOMC를 여는 연준은 13일부터는 위원들의 공식 발언을 금지하는 ‘블랙아웃’에 들어간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6-09-06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