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은행 계좌도 한눈에… 손안의 자산관리사 뜬다

다른 은행 계좌도 한눈에… 손안의 자산관리사 뜬다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16-10-13 22:30
업데이트 2016-10-14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 첫 자산관리앱 ‘마이머니’ 예·적금·연금·보험 통합 분석…KEB하나·우리銀도 출격 대기

은행들이 고객 스스로 자산을 쉽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자산관리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계속되는 저금리로 체계적인 자산관리에 관심을 두는 고객들이 많아지자 한발 앞선 서비스로 고객들을 끌어들인다는 전략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최근 은행권 최초로 ‘셀프 자산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마이머니’를 출시했다.

지금까지는 모바일뱅킹을 통해 금융사별로 계좌 현황을 조회하거나 재무 분석을 위해 고객이 일일이 자신의 자산 현황을 파악해 기입해야 했다. 하지만 마이머니에서는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저축은행과 대부업을 제외한 전 금융권(17개 은행과 우체국, 14개 카드사, 16개 증권사, 21개 보험사 등)의 자산 현황을 한꺼번에 불러와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는 ‘스크린 스크래핑’이라는 핀테크가 사용됐다.

마이머니는 고객이 가입한 예·적금, 펀드, 연금·보험 등 금융상품을 만기 시점에 따라 시간순으로 정리해 보여 주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비슷한 그룹(연령, 지역, 소득, 성별)의 고객이 보유한 자산 유형도 제시한다. 금융 자산뿐만 아니라 부동산과 자동차 등 현물 자산의 시세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현금영수증, 항공사 마일리지, 각종 포인트 적립 내역까지 보여 준다. 모든 지출 현황이 3개월마다 보고서 형태로 나와 고객이 소비 패턴을 확인하고 저축과 지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

앞서 지난 3월 은행권 최초로 로보어드바이저를 자체 개발해 ‘사이버 프라이빗뱅킹(PB) 시스템’을 마련한 KEB하나은행도 인터넷과 모바일 등으로 흩어진 기능을 합쳐 하나의 플랫폼을 구축한 자산관리 앱을 만들 예정이다. 우리은행 역시 지난 7월 온라인 자산관리센터를 구축하고 화상 전화와 이메일 등을 통해 온라인 상담과 포트폴리오를 제공 중이다. 고객 스스로 온라인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만기를 앞둔 예·적금이나 펀드의 자산 재조정을 할 수 있다. 농협은행은 기존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일부 지원하던 자산관리 기능을 업그레이드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시중은행들은 은행의 자산관리 역량이 향후 새로운 수익원 창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은행들이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고객을 끌어들이는 징검다리 서비스에 그치고 있다”면서 “각종 서비스를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빅데이터 분석으로 보다 정교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라고 지적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6-10-14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