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가계대출 통계 오류 낸 한은…직원 무더기 문책, 최선입니까

[경제 블로그] 가계대출 통계 오류 낸 한은…직원 무더기 문책, 최선입니까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7-03-14 21:12
업데이트 2017-03-14 22: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책성 인사 후 시스템 재정비…일각 “한은, 소통하는 자세 필요”

지난 9일 오후 한국은행 기자실이 갑자기 어수선해졌습니다. 같은 날 오전에 발표된 ‘2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오류가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이미 인터넷에는 ‘저축은행 가계대출 역대 최대 증가’, ‘풍선 효과 여파’라는 제목으로 보도가 나간 상황이었습니다.
한은의 정정 내용은 이랬습니다. 올해 1월 저축은행 가계대출이 9775억원 늘었다고 발표했는데, 실제 증가액은 5083억원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저축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이 4692억원이나 뻥튀기가 된 것입니다. 한은 측은 “저축은행중앙회가 그동안 가계대출에 포함하지 않았던 ‘영리 목적의 가계대출’을 갑자기 올해부터 포함시켰다”면서 “원래 기준으로 통계를 낸다면 1월 중 실제 증가액은 5083억원”이라고 해명했습니다.

한은이 통계를 발표하기에 앞서 저축은행중앙회나 금융감독원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했다면 이런 내용을 사전에 알수 있지 않았을까요. 아니면 내부 구성원 중 누구든 갑작스러운 가계대출 증가에 의문을 제기했다면 충분히 문제를 파악할 수 있었을 겁니다. 한은은 14일 오류를 낸 담당자들에 대해 무더기로 문책성 인사를 했습니다. 한은은 “통계 작성 과정에서 담당자가 사실을 충분히 확인하지 않은 채 적절한 조치나 설명 없이 통계를 공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통계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재정비하겠다”고 했습니다. 관련자 징계로 사태가 봉합되는 모습이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소통을 꺼리는 한은 조직에 대한 문제 의식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오는 23일 ‘금융안정상황점검회의’ 직후 열리는 기자간담회를 누가 주재하느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해서 그렇습니다.

최근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시작됐고 미국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 금융시장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나서느냐, 아니면 담당 부총재보가 발표하느냐에 따라 금융시장에 주는 신뢰감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왜 한은의 소통 문제가 끊임없이 지적되는지 이번 통계 오류 사태를 계기로 진지하게 고민했으면 좋겠습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3-15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