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네트워크 기반 모바일 혁신”

“오프라인 네트워크 기반 모바일 혁신”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5-15 20:50
업데이트 2019-05-16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동환 KB금융 디지털전략총괄 전무

이미지 확대
한동환 KB금융지주 디지털전략총괄 전무 겸 KB국민은행 데이터금융그룹 대표
한동환 KB금융지주 디지털전략총괄 전무 겸 KB국민은행 데이터금융그룹 대표
“KB금융은 막강한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모바일 혁신을 하고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조화를 이뤄 최고의 고객 경험을 주는 금융그룹으로 거듭나겠다.”

한동환 KB금융지주 디지털전략총괄 전무 겸 KB국민은행 데이터금융그룹 대표는 1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디지털 기술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사람의 행복에 집중할 것”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한 전무는 “금융·통신 융합서비스와 클라우드 기반의 외부 협업 플랫폼 ‘클레온’ 등 과감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면서 “카카오뱅크가 나오기 전 월간 실사용자(MAU)가 2위권이던 KB스타뱅킹은 지금 1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전무는 KB금융의 디지털전략에 대해 “개인적으론 90점 이상을 주고 싶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이 많아 70점 정도”라고 평가했다.

KB금융은 핀테크기업과 상생하는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꿈꾼다.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KB 이노베이션 허브’에 이어 앞으로 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혁신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스피커 등을 활용한 대화형 금융도 주목한다. 한 전무는 “최근 전자상거래 등이 부각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공지능(AI) 스피커 등과 결합한 메신저가 유리하다”면서 “‘리브똑똑’은 비대면에서도 금융의 본질인 ‘묻고 답하기’를 구현할 최적의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내부 인재 양성도 빠질 수 없는 전략이다. 지난해 KB국민은행은 전년보다 4배 많은 디지털 인력을 뽑았다. 미래 세대 고객에 맞추기 위해 대학생 정보기술(IT) 창업 연합 동아리와 ‘KB 디지털 네이티브 얼라이언스’도 시작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05-16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