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증시 유입자금 100조 넘어…실물경제·자산시장 ‘따로 따로’

올해 증시 유입자금 100조 넘어…실물경제·자산시장 ‘따로 따로’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12-11 15:20
업데이트 2020-12-11 15: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스피·코스닥시장 순매수액 62조원
해외주식 20조원, 대기자금 35조원 증가

사상 처음으로 2700선 넘은 코스피
사상 처음으로 2700선 넘은 코스피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2700선을 넘어선 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지수가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35.23포인트(1.31%) 오른 2731.45에 거래를 마쳤다. 2020.12.4 연합뉴스
코스피가 연일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주식시장으로 유입된 자금이 100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뿐 아니라 부동산까지 자산시장은 연일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실물경제는 부진의 늪에서 좀처럼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실물경제와 자산시장의 괴리가 커지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에서 45조 5700억원, 코스닥시장에서 16조 8402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을 합치면 순매수액만 62조원이 넘는다. 지난해의 경우, 개인 투자자는 코스피에서 11조 8012억원을 순매도했다.

증시에 투입될 수 있는 대기성 자금으로 분류되는 투자예탁금은 지난 9일 기준 61조 349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8일 기록한 역대 최고 금액(65조 1359억원)보다는 줄었지만, 여전히 60조원대를 웃돌고 있다. 투자자예탁금은 올해 초 30조원이었다가 코로나19 이후 주가가 상승하면서 증가했다.

아울러 ‘서학개미’라는 신조어 생겨날 만큼 해외주식 투자도 증가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 9일까지 해외 주식 순매수 금액은 180억 9586만 달러(약 19조 7000억원)를 기록했다. 국내외 주식 순매수액, 투자자예탁금 등을 감안하면 올해 증시 주변으로 흘러들어온 개인 투자자 자금은 116조원에 이른다. 게다가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 빌린 돈인 신용융자잔고는 지난 9일 기준 18조 6330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식시장에 돈이 역대급으로 몰린 것은 코로나19 이후 정부가 푼 유동성(돈)과 초저금리 기조 등의 영향을 받아서다. 지난 3월 코로나19 여파로 1400선까지 내려갔던 코스피는 연일 사상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주식 등 자산시장으로 돈이 몰리고 있지만, 실물경제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다.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은 전분기 대비 2.1% 성장했지만, 민간소비는 0%였다. 자산 양극화, 실물경제 회복 시 자산가격 조정 등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6일 “실물과 금융간 괴리가 자산가치의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