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ㆍ수입 증가… ‘불황형 흑자’ 우려 씻었다

수출ㆍ수입 증가… ‘불황형 흑자’ 우려 씻었다

장세훈 기자
입력 2018-02-05 22:44
업데이트 2018-02-05 2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韓銀 ‘2017 국제수지’ 잠정 집계

수출이 줄었지만 수입은 더 빠르게 감소하는 ‘불황형 흑자’ 우려를 4년 만에 걷어 냈다. 반면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에 따라 지난해 서비스수지 적자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7년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수출은 5773억 8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2.8% 증가했다. 수출이 전년에 비해 증가한 것은 2013년(2.4%) 이후 처음이다. 수입도 4574억 9000만 달러로 16.4% 늘어나 2011년(34.2%) 이후 6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이미지 확대
앞서 2013~2016년 4년 동안 수출은 17.2%, 수입은 26.6% 감소했다. 이러한 ‘역성장’ 때문에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2013년 827억 8000만 달러에서 2016년 1188억 9000만 달러로 커졌음에도 우리 경제에 대한 비관론이 고개를 드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세계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지난해 상품수지 흑자는 1198억 9000만 달러로 2015년(1222억 7000만 달러)에 이어 역대 2위 규모를 기록했다.

반면 서비스수지는 사상 최대인 344억 7000만 달러 적자였다. 서비스수지 적자는 2015년 149억 2000만 달러, 2016년 177억 4000만 달러에 이어 3년 연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여행수지 부진 영향이 컸다. 지난해 171억 7000만 달러의 적자를 낸 여행수지는 종전 최대인 2007년(158억 4000만 달러)을 뛰어넘었다.

최정태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글로벌 교역 회복과 에너지류 단가 상승 등으로 수출입이 호조를 보인 반면 서비스수지는 사드 보복과 해외여행객 증가에 따른 여행수지 악화 등으로 역대 1위 적자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 등을 합친 경상수지는 784억 6000만 달러 흑자였다. 1998년 이후 20년 연속 흑자 행진이다.

외환보유액은 4000억 달러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한은이 이날 발표한 지난달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한 달 전보다 64억 9000만 달러 늘어난 3957억 5000만 달러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1월 3872억 5000만 달러, 12월 3892억 7000만 달러에 이어 3개월 연속 최고 기록을 갈아 치웠다.

미국 달러화 약세로 유로화나 엔화 등으로 표시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02-06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