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램 값 상승, 후발 中 업체들엔 기회?

D램 값 상승, 후발 中 업체들엔 기회?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3-08 17:48
업데이트 2018-03-09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Gb 올 1월 0.97弗로 47% ↑…공급량, 급증하는 수요 감당 못해

D램 반도체 가격의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후발 중국업체들에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금처럼 D램 가격의 고공행진 속에 공급량이 모자라면 ‘투입량 대비 완성품 비율’인 수율이 떨어져도 돈을 벌 수 있는 이유에서다.
8일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D램 가격은 1Gb(기가비트) 기준으로 지난해 1월 0.66달러에서 올해 1월 0.97달러로 47% 상승했다. IC인사이츠는 “이런 상승세는 전례가 없다”면서 “30년 전인 1988년의 최고 가격 증가율(45%)을 뛰어넘었다”고 전했다.

메모리 반도체의 한 축인 D램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세계 점유율의 70%를 차지하는데 최근 서버용 제품 수요가 급증한 덕을 톡톡히 보고 있다. HP, 델, IBM 등 글로벌 기업들이 고사양 서버를 채택하고, 페이스북, 아마존 등이 잇달아 데이터센터 증설에 나서고 있어서다. 시장조사기관 D램익스체인지는 올해 D램 글로벌 시장 규모가 30% 더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반면 공급량은 ‘훨훨 나는’ 수요량을 감당하지 못하는 추세다. ‘비트그로스’(Bit Growth·D램 용량 기준 생산량 증가)는 같은 기간 44%에서 11%로 대폭 줄었다. 미세공정 난도가 높아지면서 생산량을 크게 늘리기 어려워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런 만큼 D램 공급 부족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올해 3분기까지는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게 국내 증권가의 분석이다.

이런 이유로 ‘치킨게임’식 설비투자 경쟁에서 살아남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이 당장 수혜를 누리고 있지만 칭화유니그룹 등 신규 중국업체들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는 반작용도 있다. 공급 부족 상황에서는 수율이 다소 낮아도 장사할 여지가 생기기 때문이다. IC인사이츠는 “중국 신규 D램 생산업체가 앞으로 몇 년 뒤 경쟁력 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면 현재 주요 메모리 업체들은 고객사로부터 ‘복수’를 당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대해 국내 업계 관계자는 “공정이 이미 10나노대로 접어들어 D램 공정 미세화가 어려워졌고 물량을 과거처럼 급격하게 늘리는 것도 수월치 않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3-09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